학술논문
다문화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교육 내용 분류
이용수 15
- 영문명
- The educational content categorization for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with novel and poem text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혜영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90호, 261~28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4.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다문화 시대에 독서 교육을 통해 학습자가 사회를 이해하고 스스로에 대해 성찰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다양한 자료 중에서 문학 텍스트는 실제 세계를 예술적으로 형상화해 보여주고 갈등을 간접적이면서도 호소력 있게 표현하는 독특한 성격을 갖고 있다. 문학 텍스트 독서 교육의 방향을 다문화 문식성 신장으로 설정했다면 학습자들은 글을 읽음으로써 다문화 사회를 정주민과 이주민의 입장과 시각에서 유연하게 둘러보고 다문화 사회의 문제점에 대해 비판적으로 인식하는 능력과 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 의지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데 이는 사회문화적 문식성, 비판적 문식성과 깊은 관련을 가진다.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를 배경으로 한 소설과 시가 교육 상황에서 학습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교육 내용을 분류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정인의 「그 여자가 사는 곳」, 「타인과의 시간」, 김중미의 「거대한 뿌리」, 돈 리의 「옐로」 등 네 개의 소설 텍스트와 하종오의 시 「저녁 시간」과 「불통」이 선정되었고 그 텍스트들을 분석하여 추출된 교육 내용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1) 다문화 사회로서의 한국의 상황 파악① 차별과 절망② 내적 규정과 사회적 인식의 차이2) 다문화 사회에서의 상호작용① 또 다른 우리에 대한 인식② 정체성 찾기3) 해결책과 대안 제시-동등함을 전제로 한 소통의 노력 앞의 텍스트들에는 현재 다문화 가정 사람들에 대한 차별과 소외가 다양한 방식으로 제시되어 있었고 주류 사회와 다문화 가정 사람들 모두가 상식적, 보편적 사고를 기반으로 하여 소통하려는 노력을 할 필요가 있음이 강조되어 있었다.
영문 초록
Understanding society and examining oneself in multicultural era is important. Literature texts among various materials can have a distinctive role, which is an artistic embodiment of real world, and therefore, is the indirect and appealing representation of conflicts. If the direction of teaching multicultural texts is set as raising multicultural literacy, readers should focus on looking around the society flexibly, recognizing problems critically and equipping themselves with the will of changing their action. This is closely related to sociocultural and critical literac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ategorize educational contents for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when teaching multicultural novels and poems. For this purpose, four novels were selected. The categorized contents from the four novels are followed. 1)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① discrimination and despair ② the difference between inner and social recognition of self 2) Multicultural interaction ① the other self ② identity search 3) solutions and alternatives-the efforts for communication based on equality The discrimination against and isolation from the people of multicultural backgrounds were represented in various ways and it was emphasized that both the people of mainstream and those of minority should make efforts together, which are based on equality in those texts.
목차
1. 서론
2. 다문화 시대의 문식성
3. 다문화 문식성 교육 내용 분류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외 언어 보급 정책 비교를 통한 세종학당 활성화 방안 연구
- 다문화적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국어 교사교육 연구
- 국어 교과서의 정보 텍스트에 대한 인식 연구
- 다문화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교육 내용 분류
- 시각 자료 ‘해석’의 국어학적 의미 고찰
- 고등학생의 건의문 쓰기 양상과 지도 방안
- 쓰기 영역 수행평가의 생태학적 구성 방안 연구
- 한국어 초급 교재에서의 발음교육 방안 연구
- 워크숍을 활용한 대학생 글쓰기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 국어 문법 교육의 원리 탐구
-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와 어미 오류 양상
- 대학의 전공 쓰기 과제 분석
- 독자의 위치에 따른 상상적 시 읽기 교육 연구
- 문법 학습 경험 맥락에 따른 문법 학습 촉진 요인의 보편성과 특수성
- 미시적 읽기의 개념화와 교육적 함의
- 한국어 교육에서 띄어쓰기의 오류 원인과 오류 분석
- 한국어교육의 학제적 성격과 학적 체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