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독자의 위치에 따른 상상적 시 읽기 교육 연구
이용수 19
- 영문명
- A Study on the Imaginative Poetry Reading Education based on the Position of Reader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손예희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90호, 87~11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4.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시 감상 주체인 학습자의 문제를 초점에 두고 감상 주체인 독자의 상상적 이해 과정에 주목하는 상상적 시 읽기 교육을 논하였다. 상상력을 동원한 감상 주체의 시 읽기 과정은 불완전한 형식을 의식화하거나 기억의 발동을 통해 맥락화하거나 감상 주체식으로 개성화하는 과정이 개별적으로 또 종합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렇듯 상상적 읽기의 과정을 시와 감상 주체의 개별적 만남의 과정으로 볼 때 시 읽기 교육은 텍스트를 읽으면서 학습자가 무엇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무엇이 필요하지에 대한 인식, 자기 평가, 성찰적 사고 등을 할 수 있는 데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시 교육에서의 감상 주체인 학습 독자가 시와의 만남에서 텍스트의 소통 장애도에 대한 판단에 따라 자신의 위치를 조정하며 활동적이고 적극적인 방식으로 시 읽기를 하는 상상적 시 읽기 교육을 제안하였다. 독자가 텍스트와 만날 때 인지적․정서적 거리감에 따라 안팎으로 자신의 위치를 달리하며 상상적으로 시를 읽는 과정은 시를 심리적으로 가깝게 느끼면서 시에 접근하는 계기가 될 것이며 나아가 주체에게 보다 확장된 인식의 즐거움을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discusses the poetry reading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reading subject's imagination. The process of imaginative poetry reading is that reading subject recognizes a poetry as the incomplete text or he understands a poetry from his experience or he appreciates that in his own way. This process comprises separately and synthetically. In this process, the reading subject encounters the poetry individually. So the poetry reading education has to be the focus of student-readers' mental process such as the recognition of text, self assessment and reflection. In this respect, three positions of imaginative reading subject are presented; within, into, beyond of the poetry.
목차
1. 머리말
2. 시 읽기의 본질로서 상상력
3. 위치 조정을 통한 독자의 상상적 시 읽기
4. 상상적 시 읽기 교육의 원리
5.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외 언어 보급 정책 비교를 통한 세종학당 활성화 방안 연구
- 다문화적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국어 교사교육 연구
- 국어 교과서의 정보 텍스트에 대한 인식 연구
- 다문화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교육 내용 분류
- 시각 자료 ‘해석’의 국어학적 의미 고찰
- 고등학생의 건의문 쓰기 양상과 지도 방안
- 쓰기 영역 수행평가의 생태학적 구성 방안 연구
- 한국어 초급 교재에서의 발음교육 방안 연구
- 워크숍을 활용한 대학생 글쓰기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 국어 문법 교육의 원리 탐구
-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와 어미 오류 양상
- 대학의 전공 쓰기 과제 분석
- 독자의 위치에 따른 상상적 시 읽기 교육 연구
- 문법 학습 경험 맥락에 따른 문법 학습 촉진 요인의 보편성과 특수성
- 미시적 읽기의 개념화와 교육적 함의
- 한국어 교육에서 띄어쓰기의 오류 원인과 오류 분석
- 한국어교육의 학제적 성격과 학적 체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