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驪州 地方의 勞動謠 硏究

이용수 2

영문명
A Study on Labor Songs in Yeojoo Region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이진호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66호, 441~47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12.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여주 민요는 경기도 일반의 민요와 같이 그 양과 분포면에서 논농사 때 부르는 노동요가 특히 발달되어 있다. 여주 지역 농업 노동요는 갈래 면에서 다양성이 미약한 단조로움을 보여준다. 논갈이, 모찌기, 거두고 옮기기, 볏단 묶고 나르기, 낟알 털고 고르고 되기, 물푸기 등과 같은 여러 과정에서 나타나는 노래가 고루 나타나지 않고 모내기와 논매기에 집중되어 있다. 모내기 노래는 3가지 계통으로 되어 있으며, 두레나 품앗이를 통해 집단 노동을 하면서 풍년과 풍작을 기원함과 함께 다양한 내용으로 노래되었다. 논매기 노래는 7가지 형태로 그 형식이 분류되며, 특히 '곯았네'형식은 흔치 않은 여주 지역의 특징이다. 특히 논매기가 2~3차례(초벌, 두벌, 세벌) 이루어졌지만 노래에서는 내용상 대차가 없이 노동 현장의 단합과 흥, 힘겨움의 극복, 풍요로운 추수에 대한 기대 등을 선후 교창식으로 서로 위로하며 힘을 북돋아주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단 1편의 작품만이 채록된 어업 노동요는 더 많은 가능성의 입지적 조건으로 인해 별도 구분하여 본 것으로 특히 여주 8경중에서 2경이 강이나 배를 지목하고 있으므로 현재 채로된 작품이 비록 형식만을 뱃노래로 하고 내용적으로는 유희적 성격의 노래로 되어 있기는 하지만 충분히 갈래 지어 발굴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에서 별도 항으로 다루었다. 그 외에 집터인 주춧자리를 다지면서 부른 지경소리는 일의 능률을 재고시키면서 원만한 마무리가 되도록 박자를 유도하는 노동요였다. 육아노동요인 자장가도 전승의 맥락에서 가장 최근까지 다수 전해질 것인데 단 1편만이 채록된 점은 아쉬운 점으로 충분히 더 많은 작품이 발굴되어 여주 지역만의 특수성을 보여주는 내용의 작품이 채록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Like the general songs of Kyunggi-do, Yeojoo folk songs have been especially developed as labor songs sung at rice farming in its anount and distribution aspect. Farming labor songs in Yeojoo region shows monotony poor at diversity in its division. The songs are not equally sung in various processes such as plowing a rice field, setting out rice plants, reaping and moving, tying and carrying sheaf of rice, shaking off, picking out grains of rice, pouring water, but concentrated on rice planting and seeding of rice paddy. Songs in rice planting broken down to three lines, were sung in various contents prating for a fruitful tear and a rich harvest in the course of collective labor through cooperation and exchange of services. Songs in weeding of rice paddy are classofied to 7 types, especially, the style if 'golatne' is the infrequent characteristic of Yeojoo region. In particular, weeding of rice paddy was carried out 2 or 3 times (ist, 2nd and 3rd), but the song contents were not largely different, so they performed the function of consoling and encouraging one another in the type of alternating songs for solidification and excitement of labor spot, overcoming of hardship, expectation of rich harvest. The fishery songs with only one piece recorded were separately divided due to the situational condition of more possibilities, and especially they were dealt with at a separate section in that 2 of Yeojoo 8 gyungs indicate a river or a ship, so currently recorded work is of a boat song in form, gut of amusement in contents, but it should be concentrated in unearthing of sufficient divisions. Jigyung song sung hardening a house foundation, a comerstone was a labor song enhancing work efficiency, and inducing rhythm for smooth finishing. The child-care labor song, lullaby is expected to be handed down till the most recent time in the level of transmission, but unsatisfactorily only one piece was recorded, so it is hoped more works showing the features of Yeojoo region would be excavated.

목차

1. 경기도 민요의 특징
2. 驪州 민요의 분포와 특징
3. 驪州 지방의 노동요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진호. (2003).驪州 地方의 勞動謠 硏究. 새국어교육, (), 441-474

MLA

이진호. "驪州 地方의 勞動謠 硏究." 새국어교육, (2003): 441-4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