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방언(方言)의 어원(語源) 2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tmology of dialect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위평량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66호, 173~19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전남방언의 몇 어휘의 어원과 그 변천 과정을 살펴본 글이다. 우리말은 기초어휘나 생활어휘 등에서 그 말뿌리를 헤아려 보기 힘든 것들이 너무나 많은 것이 사실이다. 그것은 생활 풍습이 변하고 이에 따라 우리의 사고가 변화를 겪으면서 우리가 쓰는 어휘의 의미 또한 부단히 변천해 왔기 때문에 그만큼 옛 선조들의 사고와 언어 습관을 헤아려보기가 힘든 이유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의 과정과 말뿌리를 헤아려 보기 위해서는 조금이라도 이른 시기의 언어를 간직하고 있는 문헌자료나 방언자료를 찾아 이를 현대어와 비교해 보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중앙어의 변이형도 많지만 지리적, 역사적 특성으로 인하여 중앙어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았던 관계로 아직도 옛 형태를 보존하고, 독자적인 변화를 보인 전남방언의 어원을 살펴보는 일은 우리말의 생성과 변천과정을 헤아려 보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origins and the changing process of a few vocabularies in Jeon-nam dialict. There are not so many vocabularies which have their origins based on basic living Korean vocabularie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dialect that has forms of archaic words. From that, the origins and the changing process can be analogized out of the dialect. In this words there are a few that well knowned their origins already, but in this paper I inspect them from another point of view.
목차
1. 머리말
2. 전남 방언의 어원
3.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작가 김우진 硏究
- 방언(方言)의 어원(語源) 2
- 안수길의 『북원』 연구
- 국어과 지도의 실제
- 유관순 전기문(집)의 분석과 새로운 전기문 구상
- 오 교사의 말하기·듣기 수업대화 목적 분석
- 抗日期 私立學校 設立과 國語敎育
- <권익중전>의 열녀 형상과 작자의식
- 올바른 띄어쓰기 方案
- ‘전제’의 기능과 국어 교육적 의미
- 鷄林類事 譯語部 正解를 위한 硏究
- 의미 구성과 표현의 대응, 그리고 필자의 발달
- 국어 어문규정의 인지 실태와 교육의 필요성
- 驪州 地方의 勞動謠 硏究
- 미국에서 한국어의 언어지위 향상에 관한 연구
- 이육사의 시인 정신
- 한글 字母의 명칭에 대하여
- 技術批評적 관점에서 본 人物의 리얼리티
- 정석가(鄭石歌)의 원형적 상징성
- 고유어 이름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