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Biography of Yu Gwan-soon and the New Concept of Biography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기창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66호, 295~347쪽, 전체 5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2.31
9,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기문의 특성을 통해 국어교육에서 전기문의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고, 구국소녀 유관순을 국어 교과서 수록에 적합한 인물로 판단하였다.
그 동안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유관순 전기문과 지금까지 발간된 50여 종의 유관순 전기집을 분석해 본 결과, 사실과 다른, 내용의 오류가 많이 발견되었고, 인물의 초인성이 강조된 면이 보였다.
이에 바르고 정확한 유관순 전기 발간의 필요성을 느끼고, 각종 관련 기록물의 검토, 관련 인사들의 증언 청취, 현장 탐방 등의 방법으로 유관순의 생애(가문과 출생, 학창 생활 및 귀향활동, 옥중 생활과 순국 등)를 가능한 한 사실대로 밝혀 전기의 기본 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그리고 전기문에서는 대상 인물의 화려한 위업이나 초인성보다는 인간미가 느껴지는, 가능성 추구의 대상으로 인간상을 그려야 된다는 전기 저술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After considering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biographies in the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I judged that Yu Gwan-soon, the patriot, be placed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Through the analysis of the biography of Yu Gwan-soon found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of the primary schools and about 50 different biographies of Yu Gwan-soon published thust far, I found some incorrect and untrue facts and an exaggerated superhuman nature of Yu Gwan-soon.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I felt we need to publish a correct biography of Yu Gwan-soon based on the true fact. For that purpose, I tried to clarify the life of Yu Gwan-soon as it is by reviewing various related records, hearing evidence from friends and relatives, and doing some fieldwork (about her family and birth, school life and activities in Seoul and at home, her life in prison and death, etc.), and presented them as fundamental material for the writing of her biography.
I also presented a new direction for the writing of the biography suggesting that it sould portray tha person with a human touch and in pursuit of the probable, not as an object of achieving a great work or a superhuman.
목차
Ⅰ. 머리말
Ⅱ. 전기문의 특징
Ⅲ. 유관순 전기문의 분석
Ⅳ. 새로운 전기의 구성 내용
Ⅴ.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작가 김우진 硏究
- 방언(方言)의 어원(語源) 2
- 안수길의 『북원』 연구
- 국어과 지도의 실제
- 유관순 전기문(집)의 분석과 새로운 전기문 구상
- 오 교사의 말하기·듣기 수업대화 목적 분석
- 抗日期 私立學校 設立과 國語敎育
- <권익중전>의 열녀 형상과 작자의식
- 올바른 띄어쓰기 方案
- ‘전제’의 기능과 국어 교육적 의미
- 鷄林類事 譯語部 正解를 위한 硏究
- 의미 구성과 표현의 대응, 그리고 필자의 발달
- 국어 어문규정의 인지 실태와 교육의 필요성
- 驪州 地方의 勞動謠 硏究
- 미국에서 한국어의 언어지위 향상에 관한 연구
- 이육사의 시인 정신
- 한글 字母의 명칭에 대하여
- 技術批評적 관점에서 본 人物의 리얼리티
- 정석가(鄭石歌)의 원형적 상징성
- 고유어 이름에 대한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