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어 어문규정의 인지 실태와 교육의 필요성
이용수 25
- 영문명
- The Actual Condition for Recognition and the necessity of Education in the Official Regulation of a Word and Sentence in the Korean Language - Make an object of the general adult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박덕유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66호, 13~3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일반인 570명을 대상으로 국어 어문규정 인지 실태를 통해 정서법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언어생활에서 자주 사용되거나 반드시 필요한 어법에 관련된 단어 100문항을 만들어 설문 조사하여 문항별 점수분포를 제시하고 그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특히, 사회생활의 중심을 이루는 일반인들의 언어사용 현상이 어린 학생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잘못 알고 있는 '한글맞춤법'과 '표준어규정'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어문규정 자체에 문제가 되고 있는 조항을 살펴봄으로써 어문규정에 대한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그러므로 보다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어문규정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esented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for orthography through the actual condition of recognition in the official regulation of a word and sentence in the Korean language by making a survey of the general 570 adults.
For this problem, I made 100 a-word items related to usages of language, which is often used, or essentially needed in the sppech life. I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marks for the item and considered the point of the issue by a question investigation.
Pargicularly, because the adultt' misuses of language directly affect those of the young students badly, I presented necessity of education for the rules of Korean spelling and th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s we mistake.
Moreover, I investigated for the actual conditions to the problems of the official regulation of a word and sentence itself. Therefore I presented the necessary rules of the standard langauge regulation which is more rational and systematic.
목차
1. 연구의 목적과 방법
2. 일반인[성인]의 어문규정 인지 실태
3. 국어 어문규정의 문제점과 교육의 필요성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작가 김우진 硏究
- 방언(方言)의 어원(語源) 2
- 안수길의 『북원』 연구
- 국어과 지도의 실제
- 유관순 전기문(집)의 분석과 새로운 전기문 구상
- 오 교사의 말하기·듣기 수업대화 목적 분석
- 抗日期 私立學校 設立과 國語敎育
- <권익중전>의 열녀 형상과 작자의식
- 올바른 띄어쓰기 方案
- ‘전제’의 기능과 국어 교육적 의미
- 鷄林類事 譯語部 正解를 위한 硏究
- 의미 구성과 표현의 대응, 그리고 필자의 발달
- 국어 어문규정의 인지 실태와 교육의 필요성
- 驪州 地方의 勞動謠 硏究
- 미국에서 한국어의 언어지위 향상에 관한 연구
- 이육사의 시인 정신
- 한글 字母의 명칭에 대하여
- 技術批評적 관점에서 본 人物의 리얼리티
- 정석가(鄭石歌)의 원형적 상징성
- 고유어 이름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