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유어 이름에 대한 고찰
이용수 14
- 영문명
- A Study on the Person's Name of Native Korean Word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문금현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66호, 119~14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고유어 이름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을 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고유어 이름의 역사를 살피고, 3장에서는 고유어 이름짓기의 현황과 방법 및 문제점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을 알아보았다. 4장에서는 고유어 이름의 유형을 언어적 요인, 사회적 요인, 생성 동기에 의해서 20여 가지로 분류해 보았다. 5장에서는 고유어 이름에 나타난 여러 가지 사회언어학적인 특징을 살펴 시대별로 유행한 고유어 이름, 작명자의 특징, 남녀 이름의 성 차이, 고유어 이름에 나타난 한국인의 의식 구조, 부모의 가치관 등을 알아보았다. 현재 고유어 이름은 전체의 10% 미만이지만 언중의 의식이 바뀌고 고유어 이름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이름짓기의 다양한 방법이 강구된다면, 점차 고유어 이름을 선호하게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general nature of person's name in native korean words. Chapter 2 examines the history on the person's name in native korean words. Chapter 3 addresses the present condition, methods, several problems and the future prospects on the subject followed by twenty classifications on linguistic factors, social factors, creation motivation in chaptor 4. In chapter5, socio-linguist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eople are discussed on the person's name in native korean words. Popular names in the 79s-90s, propensity of namers, gender difference, the structure of consciousness, parents' value are included in the same part of the paper. Though it is less tthan 10% of the whole population, more people will likely to have nemes in native korean words if various approaches could be tried.
목차
1. 서론
2. 고유어 이름의 역사
3. 고유어 이름짓기의 현황과 전망
4. 고유어 이름의 유형 분류
5. 고유어 이름에 나타난 사회언어학적인 특징
6.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작가 김우진 硏究
- 방언(方言)의 어원(語源) 2
- 안수길의 『북원』 연구
- 국어과 지도의 실제
- 유관순 전기문(집)의 분석과 새로운 전기문 구상
- 오 교사의 말하기·듣기 수업대화 목적 분석
- 抗日期 私立學校 設立과 國語敎育
- <권익중전>의 열녀 형상과 작자의식
- 올바른 띄어쓰기 方案
- ‘전제’의 기능과 국어 교육적 의미
- 鷄林類事 譯語部 正解를 위한 硏究
- 의미 구성과 표현의 대응, 그리고 필자의 발달
- 국어 어문규정의 인지 실태와 교육의 필요성
- 驪州 地方의 勞動謠 硏究
- 미국에서 한국어의 언어지위 향상에 관한 연구
- 이육사의 시인 정신
- 한글 字母의 명칭에 대하여
- 技術批評적 관점에서 본 人物의 리얼리티
- 정석가(鄭石歌)의 원형적 상징성
- 고유어 이름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