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석가(鄭石歌)의 원형적 상징성

이용수 25

영문명
Jeongseok-ga' Of Archetype Symbol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유경환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66호, 419~44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12.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려 왕조 475년 동안에 약 100년 동안의 평호시절을 빼 놓고 375년 동안은 내우외환의 참상 그대로였다. 백성들은 공려제도 전투참가, 부역, 포로 민란으로 비극적 사이별, 생이별, 성이별을 겪어야만 했다. 자유이별(이혼)이 아니라 억압된 세력에 의해 강제 이별을 해야만 하는 극한 상황 속에서 불안하고 각박해진 삶을 사랑이 충만한 태평세계로 바꾸고 싶은 절규의 노래가 정석가라고 보아진다. 제 1연은 억압된 관념의 분비과정을 거쳐 욕망을 충족시킬 수 있는 여성상징인 <징>과 남성의 상징인 <돌>의 영원한 음양조화를 노래했다. 제 2연은 5되 분량의 구운 밤을 까먹는 정도의 사랑을 실컷해야만 헤어지겠다는 것이다. 알밤은 여성을 상징한다. 석녀처럼 살고 있는 고려여인이 사랑을 맘껏 누려 보고 싶다는 것이다. 제 3연은 아들이나 딸을 셋 정도 낳은 다음에 이별하겠다는 것이다. 제 4연은 실과 바늘의 관계를 음양조화로 노래하고 있다. 제 5연은 황소를 남성, 풀밭의 풀을 여성으로 상징하여 음양조화를 노래하고 있다. 제 6연도 여성을 구슬로 보고, 남성을 바위로 보아 음양조화를 노래하고 있다. 각계 각층의 공감대를 수용한 음양 조화의 상징들을 총동원하여 사랑이 싫어질 때까지 사랑을 하고 난 다음에야 이별하겠다는 이별에 대한 거부의지를 노래하고 있다. 한국인의 영원사상이 담겨 있는 노래라고 본다.

영문 초록

1. A purpose fo this study research a human spirit Jeong seok ga of koyeo a period. 2. The First this study a way search center a material of Jeong seok ga 3. The second this study away locate a net of a meaning of center a material,4. The third this study a way trace a net of meaning of a dream, a myth, revelation, the science of divination, useful, fok ways a symbolic a system of a division. 5. And the nest study away make a recomposition simbolic meaning and a fraculty,6. Koryeo a period was domistic and foreign troubles during 375 a year of 34 a times. 7. The male(sex) of a period was attend in a war, compulsory, a prisoner, a riot (revolt) of the people. 8. poetic self (ego) of a compulsory parting in the utmost (an extreme situation) was a denial the state of affairs of parting 9. Koryeo of a person was parting of die, parting of lead a life, parting of a sex, in a tragedy. 10. Koryeo of a person song a dream of love in eternity and peace of in eternity. 11. The first a love song was sing the cosmic dual forces in eternity in a gong symbolic of womanhood and a stone symbolic of manhood.

목차

1. 서론
2. 상징적 의미와 기능
3.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경환. (2003).정석가(鄭石歌)의 원형적 상징성. 새국어교육, (), 419-440

MLA

유경환. "정석가(鄭石歌)의 원형적 상징성." 새국어교육, (2003): 419-4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