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글 字母의 명칭에 대하여

이용수 16

영문명
A Study on the Names of Hangeul Consonants and Vowels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이승후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66호, 211~23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12.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글 자모의 명칭은 그 용례를 보인 한자에서 유래하였으며 여러 계통의 명칭 중에서 현행 한글 맞춤법 규정의 자모 명칭은 최세진의 <훈몽자회> 범례에 나타난 한자에 영향을 받아 1930년 총독부의 <언문철자법>으로 공식화되었다. '기역, 니은'…의 명칭은 당시 널리 퍼져있는 관습을 중시한 결정이었으나 자모의 명칭을 쉽게 익히는 데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현행 한글 자모 명칭의 중요한 수정안은 다음 <표9>와 같은 몇 종류로 집약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앞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한글 자모의 명칭에 대한 오류가 일관되고 통일성이 없기 때문에 혼란스럽다는 사실과 함께 자모 명칭의 두 번째 음절의 받침의 혼란에서 비롯된다면 위에서 정리한 수정안 가운데서 (2)안이나 (3)안으로 개정 논의의 초점이 모아질 것이다. 좀더 나아가면 단음절 명칭인 (5)안도 다소 파격적으로 보일지 몰라도 훈민정음 당시로 거슬러 올라가면 가장 원형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글 자모 명칭에 대한 인지정확도 조사 결과 많은 학생들이 자음의 명칭을 정확히 알지 못하고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는 초등학교의 교육과정에 한글 자모 명칭에 대한 내용이 명시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은 교육 부실의 문제 이외에도 더욱 큰 원인으로 한글 자모 명칭의 규칙성에서 벗어난 기역, 디귿, 시옷이 자리하고 있으며 또한 자모 명칭에서 제2음절의 받침에 대한 인식의 오류가 컸음을 확인했다. 따라서 필자는 훈민정음에 기록된 한글자모의 명칭으로 추론되는 일음절 명칭으로 돌아가되, 기왕에 북한과 중국의 동북지방의 동포들과 러시아 동포들이 규정하고 있는 '그 느 드 르 므 브 스…'로 쓰는 것이 개정안으로 타당성과 현실성을 갖춘 진일보한 대안이라 생각한다.

영문 초록

Names of Hangeul Consonants and Vowels originated from Chinese character shouwing exaples, and Names of Hangeul Consonants and Vowels in the current Rules of Hangeul spelling of many lines of names were formalized by of the Government General in 1930 by the influence of Chinese characters revealed at Choi, Se-jin's legend. The terms of 'Giyeok, Nieun'… were the decision stressing then widely spread practice, but had a problem to easily learn the names of consonants and vowels. The important revision proposal of current names of Hangeul consonants and vowels will be summarized to some kinds as the following However, as discussed eariler, considering confusion due to constant fallacy and inconsistency on the names of Hangeul consonants and vowels, and complexity of the 2nd syllables, the focus of revision discussion will be concentrated on the proposal (2) or (3) of those arranged above. With more discussion, the proposal (5), name of simple syllables may seem to be somewhat exceptional, but it will be the most prototypical model if dated back to the time of creating Hoonminjeongeum. As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perception correctness on the names of Hangeul consonants and vowels, many students did not precisely know the nams of consonants. This was partly because of the primary school curricula do not include express namas of Hangeul consonants and vowels, but mainly because of positioning of Giyeok, Digeu, Shiot getting ut of the rules of Hangeul consonants and vowels, and perceptive fallacy of the final syllables of the 2nd syllables in the names of Hangeul consonants and vowels. Thus this researcher thinks it a more advanced alternative as the revision proposal to return to the name of one syllable inferred from the names of Hangeul consonants and vowels recorded at Hoonminjeongem, but to use them as '그 느 드 르 므 브 스…' Koreans in North Korea, North-east China, and Russia have prescribed.

목차

1. 서언
2. 한글 자모 명칭의 변천 과정
3. 한글 자모 명칭의 남북한 비교
4. 한글 자모 명칭에 대한 인지정확도 조사 결과
5. 결론을 대신하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후. (2003).한글 字母의 명칭에 대하여. 새국어교육, (), 211-235

MLA

이승후. "한글 字母의 명칭에 대하여." 새국어교육, (2003): 211-2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