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권익중전>의 열녀 형상과 작자의식
이용수 5
- 영문명
- The figuration of an examplary woman and a writer's consciousness i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곽정식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66호, 277~29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여성의 열행은 일찍부터 관찬사서의 열전을 비롯해 개인 문사들의 인물전, 구전과 문헌을 통해 전승되는 실화, 고소설 등에서 매우 중요한 문학적 소재로 부각되어 왔다. 이들 가운데 대부분은 그 내용이 실제적 사실에 그대로 부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고소설의 경우, 작자에 의한 허구적 형상화로 인해서 사실과는 크게 달라진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권익중전> 또한 정혼한 남자와의 혼인 약속을 지키기 위해 억혼을 거부하고 자결한 이낭자의 열행을 핵심 모티프로 하면서도 죽음 이후 천상선녀로서의 삶과 육신으로 환생한 삶을 허구적으로 설정하여 이승의 배필을 만나 육례를 갖추고 억혼을 자행한 원수를 갚을 뿐 아니라, 죽음 이전의 삶과는 극히 대조적으로 태평한 세상을 만나 부부가 해로하는 것으로 이낭자의 삶을 형상화하고 있다. 이처럼 천상선녀로서의 삶과 육신으로 환생한 삶이라는 허구적 형상화를 통해서 작자는 단순히 여성의 열행을 미화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이승에서 부부가 해로하며 행복하게 사는 것이야말로 삶의 근본임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figuration of an examplary woman and a writer's consciousness in . The life of a heroine is divided as the present age, a fairy of the heavens and rebirth. The figuration as life as the present age shows the fidelity consciousness by a virtue motif of heroic woman, and that of a fairy of the heavens shows taking vengence upon a person who has interrupted a marrage, as well that of rebirth shows the happiness of marital life. Lastly, I grasped a writer's consciousness that the happiness of marital life could not disturbed by any one in the world. Consequntly, I understand that is valuable motif exists in running after and actualization of world happiness by marital life.
목차
1. 들어가기
2. 논의의 방향
3. 열녀의 형상
4. 작자의식
5.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작가 김우진 硏究
- 방언(方言)의 어원(語源) 2
- 안수길의 『북원』 연구
- 국어과 지도의 실제
- 유관순 전기문(집)의 분석과 새로운 전기문 구상
- 오 교사의 말하기·듣기 수업대화 목적 분석
- 抗日期 私立學校 設立과 國語敎育
- <권익중전>의 열녀 형상과 작자의식
- 올바른 띄어쓰기 方案
- ‘전제’의 기능과 국어 교육적 의미
- 鷄林類事 譯語部 正解를 위한 硏究
- 의미 구성과 표현의 대응, 그리고 필자의 발달
- 국어 어문규정의 인지 실태와 교육의 필요성
- 驪州 地方의 勞動謠 硏究
- 미국에서 한국어의 언어지위 향상에 관한 연구
- 이육사의 시인 정신
- 한글 字母의 명칭에 대하여
- 技術批評적 관점에서 본 人物의 리얼리티
- 정석가(鄭石歌)의 원형적 상징성
- 고유어 이름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