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각어 관련 고정표현에 나타난 다의화와 인지의미의 양상
이용수 37
- 영문명
- A Study on the Aspects of Polysemization and Cognitive Meaning of the Fixed Expressions including Taste Word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문금현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02호, 391~427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1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미각어 ‘달다, 쓰다, 맵다, 시다, 짜다’의 다의화 과정과 여기에서 생성된 미각어 관련 고정표현에 나타난 인지의미의 양상을 밝힌다. 2장에서 사전의미, 말뭉치 검색, 사용빈도 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해 고빈도 고정표현을 선정하고, 3장에서는 미각어들의 긍정성과 부정성이 고정표현의 생성 과정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분석한다. 각 미각어들은 그 맛을 봤을 때와 유사한 느낌의 신체 반응이 연결되면서 감정 가치를 형성하고 다른 심리 상태나 상황에 이러한 감정이 이입 적용되면서 추상의미가 파생된다. 이것이 관용성을 띠면서 상용구절, 관용구절, 속담의 고정표현이 생성된다. 고정표현의 긍정성은 ‘달다류>짜다류>시다류>맵다류>쓰다류’의 순이고, 가장 좋은 이미지로 인식된 단맛은 좋은 기분과 상황을 표현하여 긍정의미의 고정표현을 생성하며, 반대로 쓴맛은 나쁜 기분과 상황을 표현하여 부정의미의 고정표현을 생성한다. 단맛과 쓴맛이 대립관계를 이룬 고정표현이 많은 것이 특징적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looks at the process by which the five basic tastes “sweet, bitter, spicy, sour and salty” have multiple related meanings. It also considers the aspects of cognitive meanings of their fixed expressions composed of the derived meanings of taste words. Chapter 2 presents the fixed expressions of five taste words with high-frequency by referring to the dictionary definition, the Sejong corpus, usage survey and conducting a survey. Chapter 3 looks at how taste words have expressed the cognitive meaning of their fixed expressions from two perspectives “positivity” and “negativity”. Each taste word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body’s response of tasting the food. When these feelings are involved with and applied to other state of mind and different situations, abstract meanings are derived. Also, when they are idiomatically used, the fixed expressions such as semi-idiomatic phrases, idiomatic phrases, and sayings are created. Sweetness is mainly used to express good feelings and situations, and also produces the fixed expressions with positive meanings. Bitterness is just the opposite of sweetness. It features that there are many fixed expressions in which sweet and bitter are opposites.
목차
1. 머리말
2. 미각어의 자료 분석
3. 미각어의 다의화에 나타난 인지의미 양상
4. 마무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선 추적 장치를 활용한 공무원과 일반인의 공문서 읽기 특성 비교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국어』 문학 영역제재의 수록 양상 연구
- 미각어 관련 고정표현에 나타난 다의화와 인지의미의 양상
- 문법 교사의 오개념 유형화 연구
-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재 분석
- 한국어교육학의 세계화
- 초등교사의 국어 교과서 사용에 대한 인식과 실제
- 중학생의 소그룹 상호작용에 대한 비판적 담화분석
-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격조사 ‘을/를’에 대한오류 분석 및 교육 방안 연구
- 상황 맥락을 고려한 한국어 추측 표현 연구
- 신문기사의 신조어 재현 양상 연구
- 외국인 학부생 읽기 교재에 나타난 초인지 전략과 보조 전략 분석
- 중학교 국어 음절 교육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