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법 교사의 오개념 유형화 연구
이용수 32
- 영문명
- A Study on Misconception Typology of Grammar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관희 조진수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02호, 107~152쪽, 전체 4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1
8,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체계적인 방식으로 수합한 일선 고등학교의 정기 고사 문법 문항을 분석 및 해석함으로써 문법 교사가 형성하고 있는 오개념의 양상을 거시적으로 유형화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공동 연구자 간의 지속적인 숙의를 통해 해당 자료들에 접근하였는데, 그 결과 문법 교사의 오개념을 ‘문법 개념의 과도한 단순화’, ‘위계적 문법 개념의 단절적 인식’, ‘문법 개념의 층위 혼동’, ‘유사 문법 개념의 경계 미인식’, ‘다양한 의미 해석 가능성 미인식’, ‘학교 문법의 합의점에 대한 이해 부족’, ‘경계적 사례에 대한 과도한 일반화’의 일곱 범주로 유형화하였다. 나아가 각각의 오개념 유형에 개재하는 문법 교사의 인식을 세밀하게 해석하여 이러한 오개념 연구가 문법 교사 교육의 변별성과 구체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밝히고 향후 문법 오개념에 대한 총체적 상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진단의 대상, 도구 및 방식, 연구의 입각점 등이 보다 다층화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misconception typology of grammar teachers from macroscopic perspective.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we systematically collect grammar assessment items in regular exam of high school. Then we analyze and interpret the collected items through sustained deliberation of collaborator. As a result, seven types of misconception are verified. The types of misconception are as follows:‘excessive simplification of grammar concepts’, ‘disconnective recognition of grammar concepts’, ‘confusion between levels of grammar concepts’, ‘unrecognizing difference between similar grammar concepts’, ‘lack of understanding about possibility of diverse interpretation’, ‘lack of understanding about agreement of school grammar’, ‘excessive generalization of boundary example’. By interpreting grammar teacher’s perception within these types of misconception, we point out that misconception typology of grammar teachers will contribute to improve concreteness and to contextualize grammar teacher education. Lastly, we suggest that objects of study, research method and footing of research have to be multi-layered to totalize grammatical misconception.
목차
1. 문제 제기
2. 연구 방법
3. 결과 및 논의
4.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선 추적 장치를 활용한 공무원과 일반인의 공문서 읽기 특성 비교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국어』 문학 영역제재의 수록 양상 연구
- 미각어 관련 고정표현에 나타난 다의화와 인지의미의 양상
- 문법 교사의 오개념 유형화 연구
-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재 분석
- 한국어교육학의 세계화
- 초등교사의 국어 교과서 사용에 대한 인식과 실제
- 중학생의 소그룹 상호작용에 대한 비판적 담화분석
-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격조사 ‘을/를’에 대한오류 분석 및 교육 방안 연구
- 상황 맥락을 고려한 한국어 추측 표현 연구
- 신문기사의 신조어 재현 양상 연구
- 외국인 학부생 읽기 교재에 나타난 초인지 전략과 보조 전략 분석
- 중학교 국어 음절 교육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