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황 맥락을 고려한 한국어 추측 표현 연구
이용수 94
- 영문명
- Korean Guess Expression Studies Considering the Situational Context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황주하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02호, 365~38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드라마 대본에 쓰인 추측 표현 ‘-것 같다’, ‘-을 것이다’, ‘-겠-’을 발췌하여 이들 표현이 쓰인 상황들을 분석하고 각 상황에 사용된 추측 표현의 쓰임을 분류하고자 한다. 이의 분류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들이 추측 표현을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데에 본고의 목적이 있다. 추측 표현은 의미적으로 유사하지만 사용상의 차이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였다. 본고는 상황 맥락 중심으로 실제 한국어 사용 상황을 보임으로써 세 추측 표현의 실제 사용 방법에 접근하도록 하였다. 먼저 ‘-것 같다’는 ‘무관심한 투로 말하는 상황’, ‘자신의 생각을 완곡하게 표현하는 상황’, ‘의례적인 인사말을 하는 상황’에서 사용됨을 확인하였다. ‘-을 것이다’는 ‘화자의 강한 확실성을 드러내는 상황’, ‘상대방을 안심시켜야 하는 상황’에서 쓰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겠-’은 ‘지각하거나 현재 상황을 토대로 즉각적으로 판단하는 상황’,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며 공감하는 상황’에서 쓰였다. 그리고 이렇게 분류된 상황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제 한국어 교실에서 사용 가능한 예문과 도입을 구성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written by research situations which used guess expressions - ‘-것 같다’, ‘-을 것이다’, ‘-겠-’, and classify the each expressions’ usage by analyzing Korean drama scrip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at Korean learners could distinguish situations which used guess expressions by classification and utilize these expressions properly. Guess expressions are semantically similar, however studies about differences on usages were insufficient. This study shows actual situations when guess expressions used based on situational context and allows accessing the actual usage. Firstly it is confirmed that ‘-것 같다’ is used ‘to say the situation with indifference’, ‘to say their ideas euphemistically” and ‘to say formal greetings’. And it is confirmed that ‘-을 것이다’ is used when ‘speaker needs to express its confidence’ and ‘set other party’s mind at rest’. Lastly ‘겠-’ is utilized when ‘speaker already aware the situation or needs to determine based on current situation’ and ‘to express speaker’s comprehension for other’s. And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from each situational classification, this paper provides useful example sentences which could be utilized for Korean language courses.
목차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 방법
3. 이론적 배경
4. 상황 맥락에 따른 추측 표현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선 추적 장치를 활용한 공무원과 일반인의 공문서 읽기 특성 비교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국어』 문학 영역제재의 수록 양상 연구
- 미각어 관련 고정표현에 나타난 다의화와 인지의미의 양상
- 문법 교사의 오개념 유형화 연구
-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재 분석
- 한국어교육학의 세계화
- 초등교사의 국어 교과서 사용에 대한 인식과 실제
- 중학생의 소그룹 상호작용에 대한 비판적 담화분석
-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격조사 ‘을/를’에 대한오류 분석 및 교육 방안 연구
- 상황 맥락을 고려한 한국어 추측 표현 연구
- 신문기사의 신조어 재현 양상 연구
- 외국인 학부생 읽기 교재에 나타난 초인지 전략과 보조 전략 분석
- 중학교 국어 음절 교육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