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격조사 ‘을/를’에 대한오류 분석 및 교육 방안 연구
이용수 25
- 영문명
- Error Analysis and Teaching Method of Case Markers ‘eul/leul’ for Mongolian Learners of Korea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벌러러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02호, 273~304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몽골어의 ‘ыг/ийг/г’ 목적격 어미와 한국어의 ‘을/를’ 목적격 조사를 대조 분석하여 유사점 및 차이점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가 범하는 목적격 조사 사용 오류의 원인을 밝히고, 몽골인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연구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각 언어에 관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어 격조사 ‘을/를’의 오류 양상을 살펴본 후에 글쓰기 및 문장 만들기, 틀린 문장 찾기, 몽·한 번역 등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통해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목적격 조사 사용 오류의 원인 및 양상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본다. 그리고 몽골어와 한국어 목적격 조사의 대조 분석을 토대로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목적격 조사 ‘을/를’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Mongolian objective case markers ‘-ыг, -ийг, -г’ and Korean objective case markers ‘eul/leul’ through contrastive analysis study. It is conducted to suggest effective way of teaching Korean objective case markers ‘eul/leul’ as examining the cause of errors in using Korean objective markers of Mongolian Korean learners. There exists intrinsic differences between Mongolian objective case markers ‘-ыг, -ийг, -г’ and Korean objective case markers ‘eul/leul‘. It is similar that Mongolian objective case markers ‘-ыг, -ийг, -г’ have grammatical function to indicate the substance as an object of the predicate in a sentence; however depending on the predicate in a sentence a great contrast to Korean objective case markers ‘eul/leul’ exists. Th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as utilizing prior studies it was examin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objective case markers of each language. Then according to the survey, error analysis was implemented. Lastly, the methodology of effective and practical teaching of Korean objective markers to Mongolian Korean learners was then suggested.
목차
1. 서론
2. 한국어와 몽골어 격조사 ‘을/를’의 대조 분석
3. 격조사 ‘을/를’의 사용에 대한 오류 분석
4.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격조사 ‘을/를’의 교육 방안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선 추적 장치를 활용한 공무원과 일반인의 공문서 읽기 특성 비교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국어』 문학 영역제재의 수록 양상 연구
- 미각어 관련 고정표현에 나타난 다의화와 인지의미의 양상
- 문법 교사의 오개념 유형화 연구
-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재 분석
- 한국어교육학의 세계화
- 초등교사의 국어 교과서 사용에 대한 인식과 실제
- 중학생의 소그룹 상호작용에 대한 비판적 담화분석
-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격조사 ‘을/를’에 대한오류 분석 및 교육 방안 연구
- 상황 맥락을 고려한 한국어 추측 표현 연구
- 신문기사의 신조어 재현 양상 연구
- 외국인 학부생 읽기 교재에 나타난 초인지 전략과 보조 전략 분석
- 중학교 국어 음절 교육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