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선 추적 장치를 활용한 공무원과 일반인의 공문서 읽기 특성 비교 분석
이용수 16
- 영문명
- A Experimental Study Using the Eye-tracker on Reading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Officials and the Ordinary Adult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서혁 김지희 오은하 이소라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02호, 7~44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시선추적장치를 활용하여 공무원과 일반인의 공문서에 대한 읽기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정과 도약의 데이터를 중심으로 공무원과 일반인의 읽기 양상을 양적·질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양적 분석 결과, 첫째, 모든 텍스트에서 일반인이 공무원에 비해 더 많은 고정과 도약을 보이고, 평균 고정 시간이 더 길게 나타난다. 반면, 공무원이 일반인보다 고정 빈도(초당 고정횟수)가 높고 도약 거리가 길다. 둘째, 안내문보다 법령에서 집단 간 읽기 특성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질적 분석 결과, 첫째, 공무원과 일반인 모두 핵심어에 고정 횟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집단은 각각 자신의 관점에 따라 고정하는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텍스트 구성과 관련해서는 제목 파악 양상에서 문종(안내문, 법령)별 차이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는 공문서의 소통성을 점검하고 공공문식성 제고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reading characteristics of the official documents of the public officials and the ordinary adults. Using eye-tracker, we observed an analysed the eye-movement of them and then, with personal interview, we supported the test result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e choose two types of press release and two types of laws and regulations. And the subjects are 15 public officials and 14 ordinary ad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irst,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public officials and the ordinary adults in terms of their reading aspects, the data in the center of the fixation and saccades were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and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is, the public officials read more fluently than the ordinary adults. Second, there were some different characteristics between the public officials and the ordinary adults. The public officials tend to read to official document focused on own business experience, while the ordinary adults focused on own interest and actual life. The last, in terms of text structures there are differences with kind of documents. The ordinary adults have placed more attention on the press release and the public officials have placed more attention on the subject in laws and regulation. Official documents related substantial improvement and educational content for this configuration through a follow-up study is expected to be laid in the foundation.
목차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선행 연구 고찰
3. 연구 대상 및 방법
4. 결과 분석
5. 종합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선 추적 장치를 활용한 공무원과 일반인의 공문서 읽기 특성 비교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국어』 문학 영역제재의 수록 양상 연구
- 미각어 관련 고정표현에 나타난 다의화와 인지의미의 양상
- 문법 교사의 오개념 유형화 연구
-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재 분석
- 한국어교육학의 세계화
- 초등교사의 국어 교과서 사용에 대한 인식과 실제
- 중학생의 소그룹 상호작용에 대한 비판적 담화분석
-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격조사 ‘을/를’에 대한오류 분석 및 교육 방안 연구
- 상황 맥락을 고려한 한국어 추측 표현 연구
- 신문기사의 신조어 재현 양상 연구
- 외국인 학부생 읽기 교재에 나타난 초인지 전략과 보조 전략 분석
- 중학교 국어 음절 교육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