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호주 대학 한국어교재의 쓰기과제와 활동 유형 분석
이용수 23
- 영문명
- Analysis about Written Tasks and Activities Types in Australian University’s Korean Language Textbook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동배 이수진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09호, 543~57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호주 대학 한국어교재에 반영된 쓰기과제와 활동의 유형 분석이다. 학습자 수준에 따른 쓰기과제의 유형을 통제작문, 유도작문, 조건작문, 주제작문으로 나누고 세부 활동을 설정하였다. 전체 과제 대비 쓰기과제의 비율은 평균 45.0%이고 유도작문, 통제작문, 조건작문, 주제작문의 순으로 많이 등장하여 대체로 어려운 과제일수록 적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교재의 수준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학습 수준에 맞게 쓰기과제 유형이 적용되고 있지 않았다. 통제작문은 단순 반복 연습의 비중이 높아서 유의미한 맥락 구성이 필요하겠다. 유도작문은 모든 수준에 골고루 나타나는데 정확한 문장 구성 연습과 스스로 문장을 창조하는 경험 둘 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주어진 지시에만 맞추는 데서 벗어나 주제작문 수준으로 나아가게 하는 역할을 해야 하는 조건작문이 매우 부족했다. 유도작문에서 주제작문으로 수준이 급상승하는 경향을 보완하는 과제 개발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types of written tasks, and activities which are integrated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Australian Universitie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classified the types of written tasks into controlled writing, guided writing, conditioned writing, and free writing and sub-classified them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level. The average percentage of written tasks were 45.0%. The most common task was guided writing, followed by controlled writing, then conditioned writing, and finally free writing. The frequency of the tasks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difficulty of the tasks. Yet, considering the level of textbooks, the types of written tasks were not adopted according to the learning level. Controlled writing needs meaningful context as it contains many simple and repetitive exercises. Guided writing is integrated equally at all levels, but this needs to be organised to provide exercises with which students compose accurate sentences, and the experiences in which students create sentences by themselves. Conditioned writing is significantly lacking, considering that it encourages learners to move forward from completing tasks according to the given instruction, towards free writing.
목차
1. 서언
2. 한국어교재의 쓰기과제 분석 기준
3. 연구 대상과 방법
4. 교재 분석 결과
5. 결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람 관련 신어 형성의 몇 가지 특징
- 초등 국어교육에서 웃음 교육을 위한 텍스트 이해와 교육 방안 탐색
- 남북한 국어과 교과서 전래동요수록 양상 및 공통 유형 탐색
- 음양오행(陰陽五行)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소설교육의 인물 해석 방법 연구
- 발표 불안 극복을 위한 대학생 소그룹 활동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쓰기 과제 해결 활동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텍스트 이해에 대한 멱함수 법칙의 시사
- 언어 숙달도 평가에서 MLU 측정법의해석 타당성에 대한 일고
- 한국어 교사의 친근성 행동에 대한 고급 학습자들의 경험과 선호도에 관한 연구
- 현대시 교육에서 학습자의 활동 촉진을 위한 지식의 구체화 방향 고찰(2)
- 고등학생 필자의 논증 도식 사용 양상과 시사점
- 호주 대학 한국어교재의 쓰기과제와 활동 유형 분석
- 국어과 관용 표현 교육 내용의 비판적 분석
- 한국어교육에서의 양적 연구방법에 대한 연구자의 인식
- 미래 사회 국어능력과 국어교육의 혁신
-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사과하기’ 교육 내용의 특징과 개선 방향
-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국어평가방법론 수업 사례 연구
- 한국어 준구어와 듣기 교재 제시대화문에서 출현한 일반명사에 대한 계량언어학적 연구
- 문법 교과서의 언어 단위별 교육 내용 구성과 범위 검토
- 문법 탐구 학습 모형의 비판적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