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법 탐구 학습 모형의 비판적 고찰
이용수 93
- 영문명
- Critical Research of a Model of Grammar Inquiry Learning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최선희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09호, 419~451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문법 탐구 모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김광해(1997)에서 교수·학습 방법으로 등장한 탐구 학습은 6차 교육과정에서 처음 명시되었으며 개정을 거듭할수록 탐구 학습은 문법 교육에서 중요한 위상을 점하게 되었다. 그러나 문법 탐구 학습 모형은 기존의 과학과, 사회과의 탐구 모형을 원용한 것인 바, 그 비판의 목소리는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고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문제가 거론된다. 이는 문법 탐구 학습 모형에 대한 면밀한 검토의 부족에서 기인한 것이며 관련 연구가 천착되지 않았다는 것을 방증한다. 교육 현장에서 문법 탐구 학습 모형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는 것은 문법 교육의 정상화를 꾀할 수 있는 방안으로 기능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문법 탐구 학습 모형에 대한 비판적인 고찰을 시도하고 문법 탐구 학습 모형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onduct an analytical review of grammar inquiry learning model and to propose a direction of its improvement. The investigation learning that emerged as a way teaching and learning by Gwang-hae Kim(1997) was first stated in the 6th Curriculum and has increasingly taken a prominent presence year after year in education of grammar. However, the grammar inquiry learning model has cited the previous inquiry models in science and sociology fields and thus attracted constant criticisms with the issue of utilizing it in actual education environment. This is attributable to the lack of thorough review of the grammar inquiry learning model and indicates failure to make process in relevant studies. Raising the change of utilizing the grammar inquiry learning model in education fields is likely to accelerate normalization of grammar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conduct an analytical review of grammar inquiry and to propose ways to improve it.
목차
1. 서론
2. 문법 탐구 학습 모형의 문제점
3. 문법 탐구 학습 모형의 개선 방향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람 관련 신어 형성의 몇 가지 특징
- 초등 국어교육에서 웃음 교육을 위한 텍스트 이해와 교육 방안 탐색
- 남북한 국어과 교과서 전래동요수록 양상 및 공통 유형 탐색
- 음양오행(陰陽五行)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소설교육의 인물 해석 방법 연구
- 발표 불안 극복을 위한 대학생 소그룹 활동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쓰기 과제 해결 활동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텍스트 이해에 대한 멱함수 법칙의 시사
- 언어 숙달도 평가에서 MLU 측정법의해석 타당성에 대한 일고
- 한국어 교사의 친근성 행동에 대한 고급 학습자들의 경험과 선호도에 관한 연구
- 현대시 교육에서 학습자의 활동 촉진을 위한 지식의 구체화 방향 고찰(2)
- 고등학생 필자의 논증 도식 사용 양상과 시사점
- 호주 대학 한국어교재의 쓰기과제와 활동 유형 분석
- 국어과 관용 표현 교육 내용의 비판적 분석
- 한국어교육에서의 양적 연구방법에 대한 연구자의 인식
- 미래 사회 국어능력과 국어교육의 혁신
-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사과하기’ 교육 내용의 특징과 개선 방향
-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국어평가방법론 수업 사례 연구
- 한국어 준구어와 듣기 교재 제시대화문에서 출현한 일반명사에 대한 계량언어학적 연구
- 문법 교과서의 언어 단위별 교육 내용 구성과 범위 검토
- 문법 탐구 학습 모형의 비판적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