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어과 관용 표현 교육 내용의 비판적 분석
이용수 19
- 영문명
- A Critical Analysis of the Korean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Conventional Expressio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세현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09호, 127~15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초등 국어과 교육 내용에 드러난 관용 표현의 개념 제시 양상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논의의 대상을 가리키는 용어는 매우 다양하나 ‘관용구, 관용어, 숙어, 관용 표현’으로 좁혔다. 각각의 개념을 분석한 결과 첫째, 개념을 나타내는 용어 및 요소들이 불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동일 개념을 지시하는 용어가 서로 다른 점이나 같은 용어임에도 그 요소의 명칭이 각기 다름을 확인하였다. 둘째, 관용 표현의 범주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관용 표현을 구 차원으로 한정하거나 단어, 담화차원으로까지 확장하는 것은 결국 교육 내용 구성에 있어 어디까지를 관용 표현으로 볼 것인가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용어 및 범주 문제는 교육과정의 내용 및 성취 기준에도 나타난다. 관용 표현의 상·하위 범주에 동일한 용어를 제시하여 위계에 혼란을 주거나 ‘굳어져 쓰는 표현’이라는 서술은 학습자의 이해를 고려하지 않은 모호한 풀이이다. 이러한 비판적 분석을 바탕으로 교육 내용으로서 관용 표현 개념과 범주를 재정립하였다. 관용 표현은 ‘여러 사람들에 의해 오랫동안 두루 쓰여서 익숙한 표현이자 각각의 뜻으로는 알 수 없는 새로운 뜻을 가지는 표현으로 풀이될 수 있다. 교육적 차원으로 그 생성 과정을 어느 정도 밝힘으로써 초등 학습자의 이해를 도울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concept and category about an conventional expression for korean educational contents. In considering conventional expression, I modified range of terms as ‘Kwanyonggu, Kwanyongŏ, Sugŏ, Kwanyong p'yohyŏn’. As a result of analysis, I found some specific problem. First, there was a discordance in term and requisite in definition of conventional expression. Second, there was a discordance in subcategory of conventional expression. With matters in this condition, such problem has continued in educational cont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Based on these critical analysis, I redefined concept and category of conventional expression. Accordingly, and based on these critical analysis, I redefined the concept and category. The conventional expreesion is a expression that used for very long period by many people. The reason Why such redefinition needed is we should focus on the semantic quality and elementary learner’s understanding ability.
목차
1. 머리말
2. 관용 표현에 대한 개념 분석
3. 교육 내용으로서 관용 표현의 개념
4.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람 관련 신어 형성의 몇 가지 특징
- 초등 국어교육에서 웃음 교육을 위한 텍스트 이해와 교육 방안 탐색
- 남북한 국어과 교과서 전래동요수록 양상 및 공통 유형 탐색
- 음양오행(陰陽五行)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소설교육의 인물 해석 방법 연구
- 발표 불안 극복을 위한 대학생 소그룹 활동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쓰기 과제 해결 활동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텍스트 이해에 대한 멱함수 법칙의 시사
- 언어 숙달도 평가에서 MLU 측정법의해석 타당성에 대한 일고
- 한국어 교사의 친근성 행동에 대한 고급 학습자들의 경험과 선호도에 관한 연구
- 현대시 교육에서 학습자의 활동 촉진을 위한 지식의 구체화 방향 고찰(2)
- 고등학생 필자의 논증 도식 사용 양상과 시사점
- 호주 대학 한국어교재의 쓰기과제와 활동 유형 분석
- 국어과 관용 표현 교육 내용의 비판적 분석
- 한국어교육에서의 양적 연구방법에 대한 연구자의 인식
- 미래 사회 국어능력과 국어교육의 혁신
-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사과하기’ 교육 내용의 특징과 개선 방향
-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국어평가방법론 수업 사례 연구
- 한국어 준구어와 듣기 교재 제시대화문에서 출현한 일반명사에 대한 계량언어학적 연구
- 문법 교과서의 언어 단위별 교육 내용 구성과 범위 검토
- 문법 탐구 학습 모형의 비판적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