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국어평가방법론 수업 사례 연구
이용수 38
- 영문명
- A Case Study on Assessment Methodology of Korean Language Using Problem-Based Learning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조재윤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09호, 313~350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문제중심학습(PBL)을 활용한 사범대학 ‘국어평가방법론’ 교과목의 운영 사례를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M대학교 국어교육과 4학년 교과목으로 운영한 ‘국어평가방법론’은 ‘변형된 PBL(문제 인식하기→문제 초점화하기→해결 방법 탐색하기→문제 해결 및 점검하기→일반화하기)’로 실행하였다. 개발한 평가 도구는 ① 수행평가 평가 도구(서답형), ② 논술형 평가 도구, ③ 고부담 독서 시험 도구(선택형)이다. 이 대학 전공 교육과정 교과목 운영을 통하여 기존에 이루어지던 교과목 운영보다 개선된 사항은 ① 명료한 국어과 평가 목적 인식, ② 평가 계획 수립 및 평가 도구 개발의 창의적 문제해결역량 신장, ③ 평가를 통하여 국어사용 능력을 신장하는 교수·학습 과정의 선도적 체험 자료 활용, ④ 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참여도, 수업 만족도 제고 및 M대학교의 인재상에 부합하는 전공 교육과정의 양적·질적 개선 유도, ⑤ 국어교육과를 포함한 타 학과 사범대학 전공 교육과정의 새로운 교수법 모델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pecify the cases of operating college of education the subject ‘Assessment Methodology of Korean Language’ using PBL. For this purpose, a teaching-learning course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on the basis of modified PBL for ‘Assessment Methodology of Korean Language’, which had been operated as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M University. The evaluation tools developed with PBL through the experiential base of learners included a performance assessment tool, an essay test tool, and a high-stakes reading test tool. By operating this subject in the major curriculum, the existing subject operation was improved as follows:① the objective of assessment at the department of Korea was clearly understood; ② ‘cre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y’ to make an evaluation plan and develop an evaluation tool has been enhanced; ③ proactive experiential data were generated for the teaching-learning course suitable for improving the ability to use Korean correctly; ④ active participation in the major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satisfaction have been enhanced and an opportunity to induc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mprovement in the curriculum for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met the image of talented persons in M University was given; ⑤ a new teaching model was provided for major curriculums at other departments in the college of educa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국어평가방법론 수업 사례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람 관련 신어 형성의 몇 가지 특징
- 초등 국어교육에서 웃음 교육을 위한 텍스트 이해와 교육 방안 탐색
- 남북한 국어과 교과서 전래동요수록 양상 및 공통 유형 탐색
- 음양오행(陰陽五行)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소설교육의 인물 해석 방법 연구
- 발표 불안 극복을 위한 대학생 소그룹 활동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쓰기 과제 해결 활동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텍스트 이해에 대한 멱함수 법칙의 시사
- 언어 숙달도 평가에서 MLU 측정법의해석 타당성에 대한 일고
- 한국어 교사의 친근성 행동에 대한 고급 학습자들의 경험과 선호도에 관한 연구
- 현대시 교육에서 학습자의 활동 촉진을 위한 지식의 구체화 방향 고찰(2)
- 고등학생 필자의 논증 도식 사용 양상과 시사점
- 호주 대학 한국어교재의 쓰기과제와 활동 유형 분석
- 국어과 관용 표현 교육 내용의 비판적 분석
- 한국어교육에서의 양적 연구방법에 대한 연구자의 인식
- 미래 사회 국어능력과 국어교육의 혁신
-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사과하기’ 교육 내용의 특징과 개선 방향
-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국어평가방법론 수업 사례 연구
- 한국어 준구어와 듣기 교재 제시대화문에서 출현한 일반명사에 대한 계량언어학적 연구
- 문법 교과서의 언어 단위별 교육 내용 구성과 범위 검토
- 문법 탐구 학습 모형의 비판적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