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언어 숙달도 평가에서 MLU 측정법의해석 타당성에 대한 일고
이용수 29
- 영문명
- A study on the validity of measurement of MLU in Proficiency Evaluation of Korea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명광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09호, 453~484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언어 숙달도 복잡성을 측정할 수 있는 평균 발화 길이 측정법(MLU)의 타당성 문제를 다룬다. 3절에서는 대상에 대한 해석 타당성을 다루는 데, 취학 전 아동들은 단어로 문장을 표현하기 때문에 MLU 결과가 어휘나 통사의 두 차원 모두 해석의 타당성을 갖지만, 이후 시기 학습자들은 문법 형태소와 오류문으로 인해 타당성이 떨어진다. 특히 MLU 측정을 통해 통사적 복잡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조사나 ‘동사’ 등의 문법 형태소를 분리하여 측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통사 차원의 타당성을 엄밀하게 확보하기 위하여 ‘통사 밀도’ 측정법을 제안한다. 4절에서는 측정 단위에 대한 해석 타당성 문제를 살펴본다. MLU 측정법의 단위에는 형태소, 단어, 어절이 있는 데, 한국어에서 일반적으로 단어로 인정되는 조사의 경우 실질적인 의미를 가지지 않으므로 통사적 복잡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조사를 포함해야 하며, 어휘적 복잡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조사를 배제해야만 정밀한 측정이 이루어짐을 말한다. 아울러 어절 단위는 띄어쓰기 단위가 문장 성분과 문장 구조와 밀접하여 연관되므로 통사적 복잡성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지표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at clarifying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s of MLU(Mean Length of Utterance) for making sure in lexical complexity or syntactic one. Firstly, this paper deals with the validity of objects of MLU. It is possible for the results of MLU to be interpreted as lexical complexity or syntactic one in preschool period because words are regarded as utterances in that period. Therefore, the validity of interpretation can be secured regardless of layers. But if you interpret the MLU results as lexical complexity for speakers beyond preschool period, the validity drops drastically because the parts of utterances have the grammatical forms or morphemes in addition to lexical one. If you measure the syntactic complexity from the results of MLU, you should count grammatical things only excluded lexical forms to utterances such as case markers which manifest arguments and ending suffixes of verbs which decide number of arguments and clauses. This paper, also, suggest syntactical density as a measurement for syntactical complexity calculating it precisely. Secondly, This paper deals with the validity of units of each MLU. There are morpheme, word, and word phrase as the units of MLU. Grammar of Korean traditionally has classified case markers in words, although they have the grammatical meanings. But the status of case markers should be reset for making a precision of measurement. One hand, they should be set in grammatical morphemes in order to measure syntactic complexity. The other hand. they should be excluded to word category in order to measure lexical one. Further, MLU-c is appropriate for measuring the constituents and structures of utterance because the unit of MLU-c is parallel to spacing rule for Korean writing except prenoun phrase and noun one, which need to re-ordinate space in reference to tag code of morpheme Analyser.
목차
1. 서론
2. 기존 연구
3. 대상에 대한 MLU 해석 타당성
4. 측정 단위에 대한 해석 타당성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람 관련 신어 형성의 몇 가지 특징
- 초등 국어교육에서 웃음 교육을 위한 텍스트 이해와 교육 방안 탐색
- 남북한 국어과 교과서 전래동요수록 양상 및 공통 유형 탐색
- 음양오행(陰陽五行)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소설교육의 인물 해석 방법 연구
- 발표 불안 극복을 위한 대학생 소그룹 활동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쓰기 과제 해결 활동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텍스트 이해에 대한 멱함수 법칙의 시사
- 언어 숙달도 평가에서 MLU 측정법의해석 타당성에 대한 일고
- 한국어 교사의 친근성 행동에 대한 고급 학습자들의 경험과 선호도에 관한 연구
- 현대시 교육에서 학습자의 활동 촉진을 위한 지식의 구체화 방향 고찰(2)
- 고등학생 필자의 논증 도식 사용 양상과 시사점
- 호주 대학 한국어교재의 쓰기과제와 활동 유형 분석
- 국어과 관용 표현 교육 내용의 비판적 분석
- 한국어교육에서의 양적 연구방법에 대한 연구자의 인식
- 미래 사회 국어능력과 국어교육의 혁신
-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사과하기’ 교육 내용의 특징과 개선 방향
-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국어평가방법론 수업 사례 연구
- 한국어 준구어와 듣기 교재 제시대화문에서 출현한 일반명사에 대한 계량언어학적 연구
- 문법 교과서의 언어 단위별 교육 내용 구성과 범위 검토
- 문법 탐구 학습 모형의 비판적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