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 국어과 교과서 전래동요수록 양상 및 공통 유형 탐색
이용수 4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ntain Aspects and Common Types in The Traditional Children’s Song of The South and North Korean Language Textbook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진선희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09호, 351~387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통일 시대의 국어과 교과서에서 다루어야 할 장르로서 전래동요의 의의와 남북한 교과서에 수록된 전래동요의 현황을 알아보았다. 북한의 국어과 교과서 수록 전래동요는 단 한 편이다. 남한의 제1차 교육과정 이후 2009개정 교육과정까지 교과서에 수록된 전래동요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남한 교과서 전래동요의 유형 및 하위 유형별로 북한 지역에서 채록된 같은 유형의 각편을 조사해 보았다. 남한 교과서에 수록된 대부분의 전래동요는 북한 지역에 공통 유형의 전래동요를 가지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aspects and common types in the traditional children’s songs of the south and north korean language textbooks. It is very important and urgent subjects for the unification of the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north korean language textbooks contain only one traditional children’s song. In the south korean language textbooks from the first curriculum to the 2009 curriculum contain 5 types traditional children’s song. Those are the songs of plays, songs of animals, songs of plants, songs of the atmospheres, song of the persons and things. The traditional children’s songs in the south korean language textbooks have the same roots with the traditional children’s songs in the north area. I think that the south and north peoples have the bases of sympathy in this point. But the north korean educational agents didn’t have the concern on the traditional children’s songs in long periods, we will emphasize on the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fter the unification of korea. The common types in the traditional children’s songs of the south and north korea can be used as the mean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of each other. And it can be used as the self identity educations.
목차
1. 서론
2. 남북한 국어과 교과서에 수록된 전래동요
3. 남북한 공통 전래동요 유형의 탐색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람 관련 신어 형성의 몇 가지 특징
- 초등 국어교육에서 웃음 교육을 위한 텍스트 이해와 교육 방안 탐색
- 남북한 국어과 교과서 전래동요수록 양상 및 공통 유형 탐색
- 음양오행(陰陽五行)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소설교육의 인물 해석 방법 연구
- 발표 불안 극복을 위한 대학생 소그룹 활동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쓰기 과제 해결 활동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텍스트 이해에 대한 멱함수 법칙의 시사
- 언어 숙달도 평가에서 MLU 측정법의해석 타당성에 대한 일고
- 한국어 교사의 친근성 행동에 대한 고급 학습자들의 경험과 선호도에 관한 연구
- 현대시 교육에서 학습자의 활동 촉진을 위한 지식의 구체화 방향 고찰(2)
- 고등학생 필자의 논증 도식 사용 양상과 시사점
- 호주 대학 한국어교재의 쓰기과제와 활동 유형 분석
- 국어과 관용 표현 교육 내용의 비판적 분석
- 한국어교육에서의 양적 연구방법에 대한 연구자의 인식
- 미래 사회 국어능력과 국어교육의 혁신
-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사과하기’ 교육 내용의 특징과 개선 방향
-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국어평가방법론 수업 사례 연구
- 한국어 준구어와 듣기 교재 제시대화문에서 출현한 일반명사에 대한 계량언어학적 연구
- 문법 교과서의 언어 단위별 교육 내용 구성과 범위 검토
- 문법 탐구 학습 모형의 비판적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