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통신사 국내루트의 역사문화콘텐츠 고찰
이용수 105
- 영문명
- A Study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of the Domestic Route of Joseon Tongsinsa
- 발행기관
- 바른역사학술원
- 저자명
- 김상원
- 간행물 정보
- 『역사와 융합』제13호, 155~17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조선통신사 기록물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조선통신사 국내루트의역사문화콘텐츠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먼저 조선통신사 국내루트는 양효성이 제안한 공식루트인 1진 1관 1포 32역을 지금의 행정구역과 비교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것을 바탕으로 하여 조선통신사 역사문화콘텐츠를 장소 콘텐츠, 인물콘텐츠, 그리고 축제이벤트로 분류하였다. 장소 콘텐츠는 지금의 행정구역인 서울시와 경기도, 충청북도와 경상북도, 그리고 울산과 부산의 다섯 구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의 주요 지역을 도출하고 역사적 의미와 현재 주소지 등도 함께 고찰하였다.
인물 콘텐츠와 축제 이벤트에서는 각각 조선통신사 사행이 이루어진 국내루트와 관련된 지자체들이 향후 발굴하여야 할 역사문화콘텐츠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고찰한 조선통신사 역사문화콘텐츠 중 특히 장소 콘텐츠는 향후조선통신사 사행로의 물리적 복원이 이루어질 경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of the domestic route of the Joseon Tongsinsa were reviewed with the records of the Joseon Tongsinsa. First, the domestic route of the Joseon Tongsinsa was organized by comparing the official route proposed by Yang Hyo-sung, 1-jin 1-po 32, with the current administrative district. Based on thi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of the Joseon Tongsinsa were classified into place contents, person contents, and festival events. The location contents were divided into five sections: Seoul, Gyeonggi-do, Chungcheongbuk-do, Gyeongsangbuk-do, Ulsan, and Busan, and the main areas of each section were derived. Moreover, the historical meaning and current address were also considered. In the character content and festival events, the direc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 that local governments related to the domestic route where the Joseon Tongsinsa event took place was presented. Amo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of Joseon Tongsinsa considered in this article, the place contents will be particularly important if a physical restoration of the Joseon Tongsinsa's meandering path is carried out in the future.
목차
1. 서론
2. 조선통신사 국내루트
3. 조선통신사 역사문화콘텐츠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해제(解題)와 ‘일제 통감부의 공창제도 이식(移植)’에 관한 연구
- 강수열전(强首列傳) “본(本)”의 재해석을 통한 임나가량(任那加良) 위치비정
- 조선통신사 국내루트의 역사문화콘텐츠 고찰
- 광개토왕릉비연구 무엇이 문제인가
- [해외도서 번역] 《고본죽서기년집증》 번역 1
- [서평] 中国の歴史は東夷族から始まったと語る《新註司馬遷史記》と三家註釈
- [영화 리뷰] 〈탄생〉, 기념비적 종교 영화를 넘어 역사 영화이자 해양 영화요 휴먼 드라마로서도 '기념비적!'
- 조선총독부의 민족종교 탄압과 제주도 무극대도 사건
- 고대 사적지에 대한 빅데이터 지리적 분석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해제(解題)와 ‘기생들의 국내외 공연활동’에 관한 연구
- 命理學原典 『滴天髓闡微』의 衰旺에 관한 연구
- 김중건의 원종(元宗)과 한의사 신홍균의 항일 독립운동
- 역사와 융합 제13호 목차
- 인도네시아 국민 혁명(1945.8)에 나타난 이슬람의 통일성과 실제
- [감독의 한마디] 첫 번째 조선 신부의 탄생과 조선 근대의 탄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