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광개토왕릉비연구 무엇이 문제인가
이용수 128
- 영문명
- The problem with King Gwanggaeto's inscription research: the fusion of history, calligraphy, and literature
- 발행기관
- 바른역사학술원
- 저자명
- 박종민
- 간행물 정보
- 『역사와 융합』제13호, 85~125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논문 표지](https://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269/269180.jpg)
국문 초록
본 연구 「광개토대왕릉비문」연구의 쟁점은 첫째로 비문의 신묘년 조를 해석할때 주어를 ‘왜’로 보는지 ‘고구려’로 보는지로 나뉘고, 두번째로 비문변조설이 논파되었는가 하는 점이다.
현재 비문의 신묘년 조 해석하는 통설은 이전에 백제와 신라가 고구려의 속민이였던 것은 거짓이므로 비문의 기록은 고구려인의 욕망이 투영되었다는 것이다. 그 결과 신묘년 조의 강한 왜가 나타난 것으로 왜가 신라와 백제를 신민으로삼았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일제 식민사학의 해석과 같다. 그러나 광개토대왕릉비의 건립 취지와 목적에 맞게 장수왕은 왜가 아닌 아버지 공훈을 후세에 알리려고 하는 것이고, 따라서 고구려를 주어로 보는 것이 자연스럽다.
또한 금석은 후대로 갈수록 탁본이 불선명한 것 금석학의 상식이지만 비문의경우 후대로 갈수록 탁본이 선명해진다. 따라서 비문은 변조되었고 글자마다 주의해서 명확하게 글자를 판독해야 한다. 그렇다면 역사학, 문자학, 서예학 등 여러 학문 분야에서 비문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 간의 융합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issue of the study of Gwanggaeto the Great inscription is first, whether the subject is regarded as “Japanese” or “Goguryo” when interpreting the records of the inscription's Shinmyo Year, and second, whether the inscription modulation theory was confuted.
The common theory interpreting the current inscription as Shinmyo Year is that it is false that Baekje and Silla were former colonies of Goguryeo. Thus, the inscription record reflects the desire of the Goguryeo people. As a result, it is said that the strong Japanese appeared in the year of Shinmyo, and that the Japanese made Silla and Baekje as subjects. The conclusion is the same as the interpretation of Japanese colonial history. However,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and purpose of the construction of the Tomb of King Gwanggaeto, King Jangsu is trying to inform the future generations of his father's exploits, rather than the Japanese, so it is natural to see Goguryeo as a subject.
Additionally, the rubbing of an epigraph is commonly unclear as it goes to the future generations, but in the case of Gwanggaeto the Great inscription, the rubbing becomes clearer as it transmits to the future generations. Therefore, the inscription has been changed, and each letter must be read with care and clarity. If so, convergence between studies is necessar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inscriptions in various academic fields such as history, philology, and calligraphy.
목차
1. 들어가는 글
2. 「광개토대왕릉비문」연구의 쟁점
3. 이진희의 비문변조설
4. 현 남한역사학계의 『광개토대왕비문』 연구 문제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해제(解題)와 ‘일제 통감부의 공창제도 이식(移植)’에 관한 연구
- 강수열전(强首列傳) “본(本)”의 재해석을 통한 임나가량(任那加良) 위치비정
- 조선통신사 국내루트의 역사문화콘텐츠 고찰
- 광개토왕릉비연구 무엇이 문제인가
- [해외도서 번역] 《고본죽서기년집증》 번역 1
- [서평] 中国の歴史は東夷族から始まったと語る《新註司馬遷史記》と三家註釈
- [영화 리뷰] 〈탄생〉, 기념비적 종교 영화를 넘어 역사 영화이자 해양 영화요 휴먼 드라마로서도 '기념비적!'
- 조선총독부의 민족종교 탄압과 제주도 무극대도 사건
- 고대 사적지에 대한 빅데이터 지리적 분석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해제(解題)와 ‘기생들의 국내외 공연활동’에 관한 연구
- 命理學原典 『滴天髓闡微』의 衰旺에 관한 연구
- 김중건의 원종(元宗)과 한의사 신홍균의 항일 독립운동
- 역사와 융합 제13호 목차
- 인도네시아 국민 혁명(1945.8)에 나타난 이슬람의 통일성과 실제
- [감독의 한마디] 첫 번째 조선 신부의 탄생과 조선 근대의 탄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https://contents.kyobobook.co.kr/resources/dig-fo/dig/images/ink/etc/img_eCash@2x.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