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중건의 원종(元宗)과 한의사 신홍균의 항일 독립운동
이용수 73
- 영문명
- Kim Jung-geon’s Wonjong (元宗) and the anti- Japanese independence activities of Shin Honggyun, a Korean medical doctor
- 발행기관
- 바른역사학술원
- 저자명
- 한태일 남창희
- 간행물 정보
- 『역사와 융합』제13호, 43~7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일제 식민통치는 최종적으로 우리 역사와 문화 그리고 민족혼을 말살하는 것이었다. 한의학은 한민족의 혼과 얼이 담긴 소중한 민족의학이다. 일제는 민족말살정책의 일환으로 민족정기가 축적된 한의학을 뿌리 채 뽑으려하였다. 대일항쟁기 강우규의사 등 한의사 출신 독립군들이 많았지만 자료 부족 등으로 알려지지 않았다. 본 논문은 지청천장군이 이끌었던 한국독립군(韓國獨立軍) 소속한의사 출신 군의관 신홍균(申洪均)에 대한 것이다. 신홍균을 항일투쟁의 길로들어서게 만든 사람은 김중건(金中建)이었다. 김중건은 원종(元宗)을 창시한 사상혁명가로 대공화무국주의(大共和無國主義)라는 이상세계를 제시하며 농촌주의를 실현해가며 독립운동을 하였다. 신홍균과김중건의 교유는 17년간 지속되었다.
신홍균은 36세에 김중건을 만나 교육자로, 종교인으로 그리고 독립군(군의관) 으로 투신하였다. 또한 김중건은 28세에 신홍균을 만나 45세에 순국할 때까지혁명가로, 항일투사로 생명을 바쳤다. 신홍균은 김중건과 교유하며 원종의 대공화무국의 사상적 영향을 받았으며 대전자령 전투 등에 군의관으로 참여함으로써그 이념을 본인의 항일 투쟁에 실천적으로 결합시켰다.
영문 초록
Japanese colonial rule ultimately aimed at destroying Korean history, culture, and its national spirit. Korean traditional medicine is a precious national asset containing the spirit and philosophy of the Korean people that has been preserved for 5,000 years. Based on Japan’s policy guidelines of assimilation, the Government-General of the Japanese Empire attempted to root out Korean traditional medicine, which had accumulated a national tradition and spirit. With the beginning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 alien rulers in Korea launched a program of subjugating the medical system of Joseon to Western medical science under the name of modernization. This article is a historiographic and biographic study on the life of Shin Hong-gyun, a Korean Independence Army (military surgeon) member, who bravely joined the battle of Daejeonjaryeong (大甸子嶺). It was Kim Jung-geon who led Shin Honggyun to join the difficult path of the anti-Japanese struggle. Kim Jung-geon founded Wonjong (元宗), which aimed to renovate Korean society to present a new ideal world called Daegonghwamukuk (大共和無國). He developed his strategy of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implementing a social reform, Ubokchon (魚腹村), which embodied his philosophy and experi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Shin and Kim lasted for 17 years through their collaborative works in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and social reform. This article introduced the trajectory of how Kim Junggeon’s philosophy influenced Shin Hong-gyun’s determination to join the independence army.
목차
1. 머리말
2. 독립군 한의(韓醫)군의관 신홍균
3. 김중건과 원종교
4. 원종교에서의 신홍균의 항일 독립운동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해제(解題)와 ‘일제 통감부의 공창제도 이식(移植)’에 관한 연구
- 강수열전(强首列傳) “본(本)”의 재해석을 통한 임나가량(任那加良) 위치비정
- 조선통신사 국내루트의 역사문화콘텐츠 고찰
- 광개토왕릉비연구 무엇이 문제인가
- [해외도서 번역] 《고본죽서기년집증》 번역 1
- [서평] 中国の歴史は東夷族から始まったと語る《新註司馬遷史記》と三家註釈
- [영화 리뷰] 〈탄생〉, 기념비적 종교 영화를 넘어 역사 영화이자 해양 영화요 휴먼 드라마로서도 '기념비적!'
- 조선총독부의 민족종교 탄압과 제주도 무극대도 사건
- 고대 사적지에 대한 빅데이터 지리적 분석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해제(解題)와 ‘기생들의 국내외 공연활동’에 관한 연구
- 命理學原典 『滴天髓闡微』의 衰旺에 관한 연구
- 김중건의 원종(元宗)과 한의사 신홍균의 항일 독립운동
- 역사와 융합 제13호 목차
- 인도네시아 국민 혁명(1945.8)에 나타난 이슬람의 통일성과 실제
- [감독의 한마디] 첫 번째 조선 신부의 탄생과 조선 근대의 탄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