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운 오리새끼」와 『마당을 나온 암탉』의 변형 양상과 동화의 사회화 기능 연구

이용수 184

영문명
A Study on the Deformation aspect and the Socialization Function of children’s story of 「Ugly Duckling」 and『a hen out of the yard』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홍차승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92집, 277~311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미운 오리새끼」과 『마당을 나온 암탉』의 서사 전략과 공간의 의미를 비교하여 그 유사성과 변형 양상을 살펴 18세기와 21세기에 동화가 우리에게 제시하는 사회화의 기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두 작품 모두 ‘아버지의 부재’로 인한 시련과 고난을 견디고 내적 성장을 이루기 위한 도전의 서사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미운 오리새끼」가 ‘닫힌사회’를 벗어나 또 다른 ‘닫힌사회’로 귀환함으로써 18세기의 근대적 사회가 요구하는 인내를 통한 사회적 적응과 행복 추구를 강조한 반면, 『마당을 나온 암탉』은 ‘닫힌사회’를 벗어나 스스로 ‘열린사회’를 창조함으로써 21세기의 현대사회가 지향해야 하는 새로운 사회상의 모습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다르다. 더불어 두 작품에서는 유사한 공간적 이동이 나타나지만 공간이 갖는 의미는 상이하다. 「미운 오리새끼」는 ‘차별의 공간’에서 벗어나 여러 공간을 거쳐 자신에게 이미 주어져 있던 백조의 자격을 찾아가는 여정을 보여줌으로써 내적 성장의 양상을 보여주지 못한 반면, 「마당을 나온 암탉」에서 각 공간은 ‘잎싹’의 내적 성장과 함께 단계적으로 소망의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환경으로 기능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이를 통해 「미운 오리새끼」는 현실의 고난을 인내하는 것만으로 행복한 삶이 도래할 수 있다는 환상을 심어주는 사회화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에 반해『마당을 나온 암탉』은 현실의 고난 속에서도 소망의 실현을 위해 도전해야 하며, 주위에 대한 배려와 사랑을 실천하는 삶 속에서 행복을 찾을 수 있다는 의미를 전달하는 사회화의 기능을 수행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mpare the narrative strategies and the meaning of space in “The Ugly Duckling” and “The Hen Out of the yard” to find out the function of socialization that fairy tales present to us in the 18th and 21st centuries. Both works have a narrative structure of challenges to endure trials and tribulations caused by the absence of a father and achieve internal growth. However, while “The Ugly Duckling” emphasized social adaptation and happiness through patience required by modern society in the 18th century by returning from “closed society” to another “closed society,” “The Hen Out of the Madang” presents a new social image that modern society should pursue in the 21st century. In addition, similar spatial movements appear in the two works, but the meaning of space is different. While “The Ugly Duckling” failed to show internal growth by showing the journey to find the Swan's qualifications through various spaces, each space functions as an environment that enables the realization of wishes with the internal growth of “leaf buds.” Through this, “The Ugly Duckling” performs a socialization function that instills the illusion that a happy life can come just by enduring real hardships, whereas “The Hen Out of the Madang” must challenge the realization of hope even in real life and conveys the meaning of finding happiness in a life that practices consideration and love for itself.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방법
2. 「미운 오리새끼」와 『마당을 나온 암탉』에 관한 선행연구
3. 『마당을 나온 암탉』에 내재된 「미운 오리새끼」의 유사성 및 변현
4. 동화의 사회화 기능
5. 마무리하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차승. (2022).「미운 오리새끼」와 『마당을 나온 암탉』의 변형 양상과 동화의 사회화 기능 연구. 한국문학논총, (), 277-311

MLA

홍차승. "「미운 오리새끼」와 『마당을 나온 암탉』의 변형 양상과 동화의 사회화 기능 연구." 한국문학논총, (2022): 277-3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