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말하기 교육방안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93

영문명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Korean Language Speaking Education Methods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이다연 강소산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132호, 37~6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한국어 말하기 교육방안 관련 연구를 분석하여 동향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한국어 말하기 교육방안 논의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2000년 이후부터 2022년 2월까지의 한국어 말하기 교육방안 연구를 수집하여 연도 및 유형별, 대상별, 주제별로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논문 유형으로는 석사학위논문이 가장 많았으며, 한국어 말하기 교육방안 연구는 2010년 이후 매해 10편 이상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학습 목적 및 배경으로는 ‘일반 목적’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학습자 언어권은 언어권을 특정하지 않은 ‘범언어권’ 연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언어권을 특정한 연구 중에서는 ‘중국어권’ 연구가 가장 많았다. 학습자 숙달도는 특정 급수를 다루지 않은 ‘전체급수’ 연구가 주를 이루며, 연구 주제로는 ‘말하기 수업 모형을 설계한 교육방안 연구’가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였다. 결론: 학습자의 학습 목적, 배경, 언어권, 숙달도를 특정하지 않은 연구가 많으므로 이러한 학습자 변인을 구체화한 논의가 진행되어야 한다. 이어서 다양한 연구 주제를 활용하여 더욱 풍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하며, 시대의 흐름에 맞는 신매체를 활용한 연구도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research trends in Korean speaking education methods by analyzing them, and suggest some ideas on the direction toward which discussions on Korean speaking education methods should go. Methods: This research collected researches on Korean speaking education methods from 2000 to February 2022, and analyzed them by sorting them by year, type, object, and subject of researches. Results: It was found that since 2010, more than 10 researches have been done every year. and that, As the purposes and backgrounds of learning, the most frequently presented purpose was ‘general purpose’. As Language Group of subject of studies, the largest number of researches dealt with learners from ‘various tongues’ which did not designate specific languages of learners. On language proficiency levels of learners, the majority of researches dealt with learners in ‘all the levels’. As research subjects, ‘research on education methods designing speaking teaching’ was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subject. Conclusion: As there are many researches which do not specify learning purposes and backgrounds, native tongues, and proficiency of learners, there should be more researches designating such learner variables. Then, there should be more detailed researches using various research subjects. And, it is also necessary to do researches using new media available in recent year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선행 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및 절차
4. 연구 동향 분석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다연,강소산. (2022).한국어 말하기 교육방안 연구 동향 분석. 새국어교육, (), 37-65

MLA

이다연,강소산. "한국어 말하기 교육방안 연구 동향 분석." 새국어교육, (2022): 37-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