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고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변화와 예측요인에 대한 종단연구
이용수 235
- 영문명
- A Longitudinal Study on Changes in Self-Esteem and Predictive Factors of Multicultural Children in Upper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박혜숙(Hye-Sook PARK) 전명남(Myong-Nam JUN)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9권6호, 45~6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초등학교 고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변화양상을 살펴보고, 관련 예측 요인과의 관계를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의 다문화가정 초4학년 1,373명 아동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3년 동안 다문화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변화양상을 2수준 다층성장모형을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변화양상을 살펴보았을 때 변화율이 매년 0.04씩 증가하였으나 관련 변인을 통제한 후에는 변화율에는 개인차가 없었다. 둘째, 자아존중감의 변화에 미치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아동의 또래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학교적응, 한국어 수준의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또래와의 관계의 효과크기가 가장 컸다. 그 다음으로 학습관련 변인, 교사와의 관계, 아동의 한국어 수준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들 시간에 따른 요인들은 모두 정적으로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기여하였다. 이외에도, 어머니의 한국어 수준 및 양육습관 중, 모니터링은 아동의 자아존중감 초기값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어머니의 한국어 수준과 부모의 관심으로 볼 수 있는 부모모니터링은 자아존중감에 정적으로 기여하였고, 성별에 있어서 남아가 여아보다 평균값이 더 높았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다문화가정아동의 자아존중감 증진에 대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Changes in the self-esteem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upper grades ofelementary school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related variables were investigated. The datawere 1,373 fourth-grade multicultural children and their mothers from the Multicultural YouthPanel Survey(MAPS). This study also identified both risk and protective factors associated withthe children's self-esteem over three years(4th~6th grade)using a two level hierachical linear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self-esteem increased by 0.04 each yearconsistently (linear growth trend), and there existed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rate of change. However, individual difference in the rate of change disappeared after incorporating somerelevant variables into the model. Second, the effect of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peers on thechildren's self-esteem was the largest in this model, which was followed by learning adjustment,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the children's level of Korean language. All these time-varyingcovariates positively contributed to children's self-esteem. Third, the mother's Korean languagelevel and parents’supervision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initial level of children'sself-esteem, but parental neglect in caring for their children was associated negatively withchildren's self-esteem. Fourth, male children's level of self-esteem was higher than that offemale children. Suggestions were made to enhance children's self-esteem.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개관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각된 스트레스와 공격성 간의 관계
-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을 위한 예술기반 온라인 진로프로그램효과
- 노인의 감정조절능력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군 병사의 도박인지, 지각된 도박접근성, 도박행동이 군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스마트폰 게임중독에 미치는영향에서 역기능적 신념의 매개효과
- 코로나19 스트레스와 도박 심각도 간의 관계
- 초등학교 고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변화와 예측요인에 대한 종단연구
- 가출 청소년의 가정 위험요인과 또래동조성이 진로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 병영생활전문상담관 관련 연구 동향
- 어머니 상호작용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만19-39세 성인의 성별에 따른 자살생각 영향 요인
- 전문대학교 교원들의 원격수업에 대한 인식
- 사이버불링 참여 역할 잠재계층유형과 예측요인
- 노년기의 내러티브 경험 서사 활동 참여를 통한 사회·문화적자아정체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지 9권6호 목차
- 노인의 봉사활동유형에 따른 자아통합감 특성 연구
- 자기성찰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청소년의 체질량지수, 신체적 자아상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