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왕실 현판의 사롱紗籠과 문門에 대한 고찰

이용수 28

영문명
A Study on the Sarong and Door of the Hanging boards of the Joseon Royal Court
발행기관
국립고궁박물관
저자명
안보라
간행물 정보
『고궁문화』제15호, 255~28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14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왕실 현판은 건물의 이름이나 나라 운용을 위한 지침, 왕실에서 추구했던 가치관을 비롯하여, 왕의 예술적인 면모를 느낄 수 있는 시구 등 다양한 주제의 기록을 담고 있다. 그 중에서도 왕이 지은 글과 친필을 새긴 현판은 최고의 재료를 사용하고, 테두리에는 무늬를 그리고 조각을 하는 등 격식을 갖춰 만들었으며, 특히 사롱紗籠이라는 직물로 감싸고 문門을 달기도 했다. 사롱은 현판을 감싸는 비단으로 네 테두리 가장자리에 편철片鐵을 두르고 못을 박아 고정하였으며, 문은 테두리 양쪽에서 경첩이나 돌쩌귀로 연결하여 여닫는 형태로 제작하였다. 사롱과 문은 모두 왕의 글씨나 글, 왕세자의 글씨나 글을 새긴 최고 위계의 현판에만 한정적으로 설치되었다. 사롱은 햇빛을 받아 직물의 색이 바래고 비바람에 찢어져 온전하게 남아 있는 것은 단 한 점도 없다. 하지만 유리건판을 통해 사롱이 덮힌 현판이 어떤 모습이었는지 알 수 있으며,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현판 중 편철이나 못에 사롱 조각이 일부 남아 있는 것이 있어 상당히 많은 현판에 사롱이 존재했었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다. 문은 완형이 남아 있는 사례는 단 한 점뿐이지만, 문을 고정했던 경첩과 그 흔적을 토대로 보다 더 많은 현판에 문이 달려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현판에 사롱과 문을 덮으면 안에 새긴 글과 글씨가 잘 보이지 않는데, 이러한 요소를 갖춘 이유는 존귀한 존재의 필적을 함부로 내보이지 않았던 시대적 상황과 연관된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어필을 사람들에게 널리 보이는 것을 삼갔으며, 왕이 시를 짓는 것은 성현의 글을 공부하지 않고 사장詞章을 일삼는 것으로 치부되기도 했다. 더구나 존귀한 지존의 글과 글씨가 건물에 걸려 햇빛을 받고 비바람에 젖어 훼손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기도 했다. 따라서 최고 통치자와 앞으로 왕위에 오를 후계자의 글과 글씨를 새긴 현판에 사롱과 문을 달아 귀중하게 보호하고 지속적으로 보수하였다. 이 논문은 다양한 문헌 기록과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현판과의 비교를 기반으로 사롱과 문에 대해 고찰한 최초의 논문이다. 이를 통해 사롱과 문의 제작과 보수, 재료, 그리고 현재 현황과 조형적 특징에 대해 알 수 있으며, 향후 궁궐 현판 등을 올바르게 복원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Hanging boards of the Joseon Royal Court contain records of various themes, including the name of the building,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the country, values pursued by the royal family, and poems that convey the king’s artistic side. Among them, a hanging board engraved with the king's writing and calligraphy was made in a formal manner, such as using the best materials, drawing patterns and sculpting on the rim, and in particular, it was wrapped in a fabric called Sarong (사롱, 紗籠) and attached with Doors (문, 門). The Sarong is silk that surrounds the hanging board and is fixed by surrounding the edges of the four borders with a nail or metal plate, and the Doors are made by connecting both sides with hinges, so that they can be opened or closed. Both the Sarong and the Doors were limited to the highest-ranking hanging boards engraved with the king's or the crown prince's calligraphy or writing. The color of the fabric has faded due to sunlight, and not a single piece remains intact due to the rain and wind. However, you can see what a hanging board covered with Sarong looked like from the Gelatin Dry Plate photo and it appears to indicate Sarongs were present on a considerable number of the hanging boards of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because some of the Sarong pieces remained on the nail or the metal plate. Although there is only one case in which the Doors remain complete, based on the hinges that fixed the Doors and their traces, it seems that there were more Doors attached to other hanging boards. If the hanging board is covered by the Sarong and Doors, you can't see the inscriptions and letters inside, and the reason for this element is related to the situation of the times when the handwriting of a noble being was not carelessly displayed. In particular, it was not right to show the king's Calligraphy widely to the world, and the king's writing of poetry was regarded as personal writing and not associated with studying the writings of his ancestors. Moreover, it was impossible for the precious Calligraphy and writings of the King to be hung exposed on the building, to sunlight, and to be damaged by rain and wind. Therefore, the Sarong and Doors were attached to the hanging board engraved with the Calligraphy and writings of the king or the heir to the throne, and the Sarong was continuously repaired every three years. This paper is the first paper to examine the Sarongs and Doors of the hanging boards based on various literature records and comparisons of real hanging boards held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Through this, you will be able to learn about the production and repair of Sarongs and Doors, materials, current status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properly restore palace hanging boards in the future.

목차

Ⅰ. 머리말
Ⅱ. 사롱의제작과특징
Ⅲ. 문의제작과특징
Ⅳ. 사롱과문의제작배경 및 의도
Ⅴ. 맺음말
[부록] 의궤에기록된현판의‘사롱’과‘문’의재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보라. (2022).조선왕실 현판의 사롱紗籠과 문門에 대한 고찰. 고궁문화, (), 255-285

MLA

안보라. "조선왕실 현판의 사롱紗籠과 문門에 대한 고찰." 고궁문화, (2022): 255-2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