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창덕궁 유물 봉황인문보鳳凰引紋袱에 시문된 문양 분석

이용수 44

영문명
Changdeokgung Palace Relics Analysis of the Patterns Drawn on the Bonghwang-Inmunbo
발행기관
국립고궁박물관
저자명
배정하
간행물 정보
『고궁문화』제15호, 93~11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14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창덕궁 유물 봉황인문보는 조선시대 왕실에서 사용하기 위해 제작된 궁중 보자기이며 국립고궁박물관에 14점이 소장되어 있다. 봉황인문보는 인문보引紋袱의 일종으로 봉황 문양이 보자기 중앙에 그려져 있는 것을 말한다. 인문보는 보자기감 위에 궁중 화원들이 채색 물감을 이용하여 화려한 문양을 그려 넣어 제작한 궁중 보자기이다. 조선왕실에서는 유교적 관습에 따라 예를 행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겨 사람의 신분과 물품의 종류에 따라 격格에 맞춰 보자기를 엄격히 구분하여 포장하였다. 왕실의 중요한 행사를 위해 제작된 봉황인문보에는 동물 문양, 식물 문양, 문자 문양, 보문, 자연현상 문양으로 분류되는 다양한 문양이 그려져 있다. 이러한 문양은 개체별로 부귀영화, 왕조의 지속, 자손 번창, 장수 등의 많은 의미를 담고 있다. 이들을 보자기에 복합적으로 그려 넣어 조선왕실의 번영과 자연과의 조화 등 그들이 추구하는 이상향에 대한 욕망을 강하게 표출하였다. 조선왕실에서 사용했던 궁중 보자기는 엄격한 절차에 의해 제작되었다. 봉황인문보 역시 가례 준비를 위한 임시관청인 가례도감嘉禮都監이 설치되면 관례에 따라 제작되었다. 조선시대 왕실의 중요한 행사를 기록한 고문헌에는 인문보가 수백 장이 제작되었다는 기록은 남아 있으나 정확한 쓰임새나 제작 과정은 기록되어 있지 않다. 현재 봉황인문보의 연구는 단독으로 수행된 것은 없지만 궁중 보자기를 연구한 학술논문 속에 일부분으로 다루어진 논문이 여러 편 있다. 본 논문은 이들 선행연구와 궁중 복식 연구, 궁중 문양 등을 연구한 학위 논문을 참고하여 문양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또한, 국립고궁박물관의 도움으로 수장고에서 직접 관찰한 결과를 토대로 봉황인문보 문양에 채색된 색채미와 기법 등의 다양한 회화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봉황인문보에 그려진 문양을 분석하여 채색된 문양의 의미와 회화적 특성을 밝힘으로써 봉황인문보의 수준 높은 예술적 가치를 증명하는 데 있다. 또 다른 성과로는 일본 제국주의의 민족문화 말살 정책으로 사라진 전통 채색화의 원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봉황인문보에는 다양한 문양에 채색된 전통 색채미와 한국 고유의 채색 기법이 그대로 남아 있었다. 1980년대 이후 한국화를 현대화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작가의 노력으로 일제강점기에 사라진 전통 채색 기법을 복원하였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전통 채색 기법을 시대 감각에 맞게 재창조하여 오늘날 대중에게 공감받는 한국화로 거듭날 수 있었다. 봉황인문보의 연구를 통해 전통을 기반으로 한 한국화의 현대화가 옳은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봉환인문보에 시문된 전통 문양은 현재까지 회화, 공예, 디자인, 건축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밝힌 문양 분석이 여러 예술 분야에서 전통 문양을 재해석함에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의 연구 과정에서 아쉬운 점은 보자기 위에 그림이 그려진 관계로 봉황인문보의 종합적인 분석은 회화 관련 연구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봉황인문보의 진전된 연구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한국 전통 채색화 분야, 도상학 분야, 의류복식 분야, 고문헌 분석 분야 전문가들의 협업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봉황인문보의 전체적인 가치를 구체적으로 밝힐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Changdeokgung Relics Bonghwang-Inmunbo is a royal Bojagi (wrapping cloth) made for use by the royal family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re are 14 pieces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Among them, the Bonghwang-Inmunbo is a kind of Inmunbo, and refers to the one in which the phoenix pattern is drawn in the center of the Bojagi. Inmunbo is a royal Bojagi made by royal painters using colored pigments to draw colorful patterns on the Bojagi. In the Joseon Dynasty, it was important to perform rituals according to Confucian customs, and the wrapping cloth was strictly classified and packaged according to the status of the person and the type of goods. The Bonghwang-Inmunbo, which was produced for important royal events, features various patterns classified into animal patterns, plant patterns, text patterns, treasure patterns, and natural phenomena. Each of these patterns contains many meanings such as wealth, continuation of the dynasty, prosperity of descendants, and longevity, and they are combined on a cloth to express their desire for ideals such as the prosperity of the Joseon Dynasty and harmony with nature. The royal Bojagi used by the Joseon Dynasty were produced by strict procedures. Bonghwang-Inmunbo was also produced according to custom when the Garye Docham, a temporary government office, was established to prepare for a ceremony. In old documents that recorded important royal event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re is a record that hundreds of Inmunbo were produced, but the exact usage and production process is not recorded. Currently, the research of Bonghwang-Inmunbo is not being conducted in isolation, as the topic has been dealt with several times as part of an academic paper that studied royal Bojagi. This paper analyzed the meaning of patterns by referring to these previous studies and also academic papers that studied court dresses and court patterns. In addition, with the help of the National Palace Museum, various pictori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color beauty and techniques of Bonghwang-Inmunbo patterns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bserved directly from their place of storag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e the high-quality artistic value of Bonghwang-Inmunbo by analyzing the patterns drawn on the Bonghwang-Inmunbo and revealing the meaning and pictorial characteristics of the colored patterns. Another achievement is that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original form of traditional color paintings that disappeared due to the Japanese imperialism's policy of eradicating Korean national culture. In the Bonghwang-Inmunbo, the traditional color beauty in various patterns and Korea's unique color techniques remained intact. In the process of modernizing Korean painting in the 1980s, the traditional coloring technique that had disappear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restored with the efforts of numerous artists. Based on these achievements, traditional coloring techniques were recreated in accordance with the sense of the times, and therefore able to be reborn as a Korean painting that is sympathetic with the public today. Through the study of Bonghwang-Inmunbo, it was confirmed that the modernization of Korean painting based on tradition was proceeding in the right direction. The traditional patterns printed on the Bonghwang-Inmunbo have been used in various fields of painting, crafts, design, and architecture. The pattern analysis revealed in this paper is believed to be helpful in reinterpreting traditional patterns in various art fields. What is regrettable in the research process of this paper is that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Bonghwang-Inmunbo is limited only by painting-related research because the painting was drawn on the Bojagi. In order to enhance the progressive research results of Bonghwang-Inmunbo, collaborative research by experts in the field of traditional Korean color painting, iconography, clothing,

목차

Ⅰ. 머리말
Ⅱ. 봉황인문보의이해
Ⅲ. 봉황인문보문양분석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정하. (2022).창덕궁 유물 봉황인문보鳳凰引紋袱에 시문된 문양 분석. 고궁문화, (), 93-119

MLA

배정하. "창덕궁 유물 봉황인문보鳳凰引紋袱에 시문된 문양 분석." 고궁문화, (2022): 93-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