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간계량경제모형을 적용한 호텔객실성과 결정요인분석
이용수 47
- 영문명
- Analysis on determinants of hotel room performance using spatial econometric model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오미해 이희찬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6권 제3호, 225~24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객실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실증분석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입지요인을 중심으로 호텔객실성과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의 목적에 따라 호텔 입지가 다양하게 정의되었으며, 대부분의 연구 분석 시 OLS모형을 적용하여 호텔의 공간적 특성을 감안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입지이론을 기반으로 입지의 조작적 정의를 규정하여 선행연구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진 결정요인들과 함께 변수로 적용하였으며, 공간자기상관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최소제곱모형, 공간자기회귀모형, 공간오차모형을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고 가장 적합한 모형을 도출하였다. 수도권 소재의 274개 호텔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RevPAR 결정요인을분석하기 위해 호텔 객실 수, 브랜드 여부, 등급, 부대시설 매출 등 호텔 특성요인 및 중심지에서의 거리와 집적정도 및 배후지 산업활성화 정도 등 입지요인 변수를 적용하였다. 각 모형 분석결과 적합도가 우수하고, 잔차분석 시이분산성이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난 공간오차모형을 최종 모형으로 채택하고 결과를 해석하였다. 호텔 특성 요인인 객실 수와 부대시설 매출, 체인브랜드 여부는 RevPAR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호텔 등급변수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지요인 중 배후지역의 기업 수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입지상계수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도심으로부터의 거리와 동일권역 내 호텔 객실 수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공간적 특성을 갖는 데이터를 분석 시 데이터의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반영할 수 있는 공간계량경제모형 적용의 타당성을 제시하였으며, 입지이론에 근거하여 입지변수를 도출하고 이를 실증분석함으로써 호텔객실성과결정요인을 도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hotel RevPAR using data from 274 hotels in Korea's capital region. As the outset, it is imperative to clarify the concept of location due to fact that there is lack of consensus defining the hotel location. Based on the Mono-Centric Model and the Agglomeration Model, this study proposes an operational definition of hotel location. In addition, traditional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room count, auxiliary facility size, and brand were considered as determinants. The least squares regression model (OLS), the spatial autoregressive model (SAR), and the spatial error model (SEM) were established in order using cross-sectional data. The SEM is chosen as the final model for this study because it overcomes the problem of spatial autocorrelation. The findings confirm that attributes such as room count, auxiliary facility size, brand, and location are important drivers of RevPAR. The number of companies in the hotel area, in particular, may improve RevPAR, whereas agglomeration may be detrimental to profit in the hotel room market. This study, in addition to having managerial implications, contributes to future research by providing a methodological guide on spatial regression models. It is suggested to spatial econometrics model, which overcoming the problem of spatial autocorrelation, is more appropriate than the traditional OLS in explaining hotel performan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
국문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편집인의 글] 관광객 vs. 관광자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코로나19 관련 관광이슈 및 정부 정책 분석
- 『관광학연구』통권 제60호~제90호 권호별 논문 목차 (2007년 4월 ~ 2011년 5월)
- 『관광학연구』에 게재된 관광 행동 연구 동향 분석
- 국내·외 관광자 행동연구의 비판적 검토
- 언어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관광 행동 연구 동향 분석
- 호텔·외식 분야 소비자행동 연구의 지식의 흐름
- 현상학적 관점에서 습관적 여가 행동의 의미
- 관광과 커먼즈
- 코로나19 위험지각 및 스트레스와 갯벌의 지각된 회복환경의 관계 연구
- SOR 이론을 적용한 챗봇 사용 의사결정과정 연구
- 공간계량경제모형을 적용한 호텔객실성과 결정요인분석
- [서평] 『문화관광론: 관광 현상에 대한 문화적 이해』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