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언어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관광 행동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24
- 영문명
- Examining tourism behavior research trends using language network analysis: A focus on the Journal of Destination Marketing & Management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박득희 김지언 이계희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6권 제3호, 61~7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관광 패러다임의 변화로 인해 관광객의 관광 행동 이해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연구는 Journal of Destination Marketing & Management에 게재된 관광 행동 논문들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바탕으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JDMM에서 2012년부터 2021년까지의 관광 행동 논문들을 수집했으며, 수집된 자료는 UCINET 6.682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밀도 분석, 위세 중심성 분석, 동시 출현 빈도 분석, CONCOR 분석 등의 언어 연결망 분석을 수행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밀도 분석 결과, 주제어 연결망의 연결 형태는 균형적으로 연결을 가지는 형태가 아닌 특정 주제어에 집중적으로 연결된 형태임을 확인했다. 둘째, 위세 중심성 분석 결과, 주제어 연결망 내에 포함된 주제어들은 소수의 주제어들에따른 위계적 연결 형태를 가지는 것을 확인했다. 이와 더불어, Behavioral intentions, Satisfaction, Tourist behavior, COVID-19, 그리고 Destination image는 주제어 중에서 중심 주제어가 될 수 있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주제어임을 확인했다. 셋째, 동시 출현 빈도 분석 결과, Behavioral intentions - Satisfaction, Behavioral intentions - Destination image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했다. 끝으로, CONCOR 분석 결과, 4개의 군집이 도출되었으며, 사회적 이슈와 이미지에 관련한 군집의 중요도가 가장 큰 것을 확인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관광 행동에 관련한 연구의 확장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했고, 이 연구의 한계점과 다양한 분석기법에 대한 확장을 통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했다.
영문 초록
Due to the change in the tourism paradigm,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ourists' tourism behavior has been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rends in tourism behavior research published in the Journal of Destination Marketing & Management and to provide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is study collected research related to tourism behavior and/or tourist behavior from the JDMM database from 2012 to 2021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s goal. The current study used UCINET 6.682 to perform some language network analysis techniques, including density, eigenvector centrality, frequency of co-occurrence keywords, and CONCOR. The linkage patterns of keywords were concentrated into a few keywords, according to density analysis. The eigenvector centrality analysis results show that a few keywords in the keywords network were hierarchically structured. Furthermore, the first-ranked keywords were Behavioral intentions, Satisfaction, Tourist behavior, COVID-19, and Destination image, which can play a key role as the central keywords in the keyword network. The frequency of co-occurrence keywords results show that the frequency of co-occurrence keywords results show that Behavioral intentions -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 Destination image were the most common co-occurrence keywords within the keyword network. Finally, as a result of the CONCOR analysis, four clusters were identified, and it was confirmed that clusters related to social issues and destination images were the most important. The implications for future tourism behavior research were provid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analysis.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also suggested by expanding various analysis technique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Reference
국문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편집인의 글] 관광객 vs. 관광자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코로나19 관련 관광이슈 및 정부 정책 분석
- 『관광학연구』통권 제60호~제90호 권호별 논문 목차 (2007년 4월 ~ 2011년 5월)
- 『관광학연구』에 게재된 관광 행동 연구 동향 분석
- 국내·외 관광자 행동연구의 비판적 검토
- 언어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관광 행동 연구 동향 분석
- 호텔·외식 분야 소비자행동 연구의 지식의 흐름
- 현상학적 관점에서 습관적 여가 행동의 의미
- 관광과 커먼즈
- 코로나19 위험지각 및 스트레스와 갯벌의 지각된 회복환경의 관계 연구
- SOR 이론을 적용한 챗봇 사용 의사결정과정 연구
- 공간계량경제모형을 적용한 호텔객실성과 결정요인분석
- [서평] 『문화관광론: 관광 현상에 대한 문화적 이해』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