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관광과 커먼즈
이용수 44
- 영문명
- Tourism and commons: Conceptualizing the tourism commons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김익태 한범수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6권 제3호, 137~16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세계적인 ‘공공성 위기’ 시대에 사회과학계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누구의 소유도 아닌 모든 사람의 것”을일컫는 ‘커먼즈’ 개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커먼즈 이론으로 관광 현상을 살펴본 관광학 연구는 극히 드물다. 이 연구는 이런 현실을 감안해 커먼즈 이론을 관광 연구에 접목하기 위한 시론적 접근을 목표로 했다. 이를 위해 첫째, 하딘을 시작으로 오스트롬까지 국제학계의 커먼즈 연구와 국내학계의 관련 연구 성과를 살펴보고, 둘째, 국내외 학계의 관광커먼즈에 대한 선행 연구 내용을 분석하는 문헌 연구를 통해 기존 관광커먼즈 연구의특징과 한계를 도출했다. 그 결과 학문 연구의 기본인 개념 규정부터 혼란을 겪고 있다고 판단해, 물리적 속성에따른 배제성과 감소성, 사회적 속성에 따른 독점정당성과 경합성 기준을 중복 적용해, tourism commons(관광공동자원)를 “물리적으로 사용자를 배제하기 어렵고, 사회적으로 독점하는 것이 정당하지 않은 자연ㆍ사회문화ㆍ인공 관광자원”으로 정의하고, 관광커먼즈 가운데 “물리적으로 감소성이 있고, 사회적으로 경합성이 있는 관광자원” 을 tourism CPRs(관광공동관리자원)로 정의했다. 이 연구는 개념화를 바탕으로 향후 관광커먼즈 연구 방향을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관광개발이 관광목적지의 자연과 문화를 파괴하는 ‘관광 역설'의 사회적 딜레마를 해결하는 새로운 프레임으로 관광커먼즈 이론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둘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age of global 'public crisis,' social science is actively employing the concept of 'commons,' which refers to “everyone's property, not anyone's,” in research to solve social problems. However, few studies in tourism academics have examined the tourism phenomenon through the lens of the commons theory. Given this reality, this study attempted to review how to incorporate the theory of the commons into tourism research. To that end, research on commons in international academic circles and related research achievements in domestic academia are reviewed from Hardin to Ostrom. Second, previous research on tourism commons was reviewed and synthesized. As a result, it was determined that there was confusion from the conceptual definition, which serves as the foundation of academic research, and thus subtractability and excludability based on physical attributes, and monopoly legitimacy and rivarly based on social attributes, were applied. Tourism commons are defined as “natural, social, cultural, and artificial tourism resources that cannot be difficult to physically exclude users and that are not justified to monopolize from a social standpoint,” and tourism CPRs are defined as “tourism commons that decrease as they are physically used and are socially rivalry.” Based on conceptualization, this study proposes a future research direction for tourism commons, with the goal of resolving social dilemmas such as the “tourism paradox.”
목차
Ⅰ. 서론
Ⅱ. 커먼즈 이론 고찰
Ⅲ. 관광커먼즈 연구
Ⅳ. 논의 및 시사점
Ⅴ. 결론
References
국문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편집인의 글] 관광객 vs. 관광자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코로나19 관련 관광이슈 및 정부 정책 분석
- 『관광학연구』통권 제60호~제90호 권호별 논문 목차 (2007년 4월 ~ 2011년 5월)
- 『관광학연구』에 게재된 관광 행동 연구 동향 분석
- 국내·외 관광자 행동연구의 비판적 검토
- 언어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관광 행동 연구 동향 분석
- 호텔·외식 분야 소비자행동 연구의 지식의 흐름
- 현상학적 관점에서 습관적 여가 행동의 의미
- 관광과 커먼즈
- 코로나19 위험지각 및 스트레스와 갯벌의 지각된 회복환경의 관계 연구
- SOR 이론을 적용한 챗봇 사용 의사결정과정 연구
- 공간계량경제모형을 적용한 호텔객실성과 결정요인분석
- [서평] 『문화관광론: 관광 현상에 대한 문화적 이해』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