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코로나19 관련 관광이슈 및 정부 정책 분석
이용수 75
- 영문명
- A comparison of COVID-19-related tourism government policy and online news: An application of topic modeling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송혜민 김홍범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6권 제3호, 161~18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코로나19 대유행이 장기화됨에 따라 관광 분야의 사회적, 경제적 타격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발표하고 있고 이러한 정책 결정 과정에 있어 대중들이 관심을 갖는 사회이슈의 정책과정 반영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19와 관련된 이슈가 빠르게 변화하고 의료, 방역등 다양한 분야와 밀접한 연관을 띈다는 특성으로 이와 관련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는 코로나19 의 확산이라는 사회적 이슈의 발생에 따라 대중들이 관심을 가지는 이슈의 세부 주제 및 정부 발표 관광 관련 정책에 대해 파악하고자 진행되었다. 토픽 모델링 기법 중 LDA 모델을 적용하여 2020년 02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보도된 뉴스 자료 13,688건과 정책 보도자료 143건을 분석한 결과 일반 대중들이 코로나19 및 관광과 관련하여 관심을 가지는 주제는 관광경제 회복, 국내 관광, 지역방역, 관광고용, 해외여행으로 나타났으며 문체부 정책보도자료 분석결과 관광 산업 변화 대응, 여행지 안전 및 방역, 국제관광 회복, 관광 콘텐츠 개발, 제도개선의 주제가 파악되었다. 온라인 뉴스와 정부 정책 보도자료 비교 분석결과 온라인 뉴스에서는 관광고용 및 관광경제 회복 등 유사한 토픽이 주로 도출되어 특정 주제에 대한 논의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정부 정책에서는 방역과 관련된주제의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대중들의 관심이 집중되는 이슈와 이에 대응하는 정부 정책의 세부 주제 간차이가 존재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코로나19 및 관광 관련 대중들이 관심을 가지는 이슈를 세부적으로 살펴보고 정부의 정책적 대응을 비교 분석함으로서 향후 관광 위기 상황에서의 사회 이슈의 파악과 정책수립에 대한 체계적 탐색을 위한 기반을 제공했다는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가진다.
영문 초록
It is recognized that the public's interests are required in the policy-making process, so there is much to investigate regarding the specific topics that have emerged regarding COVID-19 and tourism. As a result,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comprehend the tourism issues that the general public is interested in, as well as the topics of the government's tourism policy in the COVID-19 era. This study used topic modeling methods to analyze 13,686 online news articles and 143 government policy data. This study identified five major topics through data analysis on online news data (revitalization of tourism economy, domestic travel, regional quarantine policy, tourism employment, international travel). The analysis of press-released tourism policy data, on the other hand, resulted in dimensions such as industry change response strategy, safety, international tourism revitalization, tourism content development, and system improvements.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similar economic topics such as employment and recovery emerged as key dimensions from online news. Quarantine policy-related topics, on the other hand, have emerged as critical topics from tourism policy data. It indicates that there were gaps between issues that drew public attention and government policy that addressed them. By examining the issues of interest in COVID-19 and tourism,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a foundation for systematic exploration of social issues and policy establishment in future tourism crisis circumstanc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References
국문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편집인의 글] 관광객 vs. 관광자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코로나19 관련 관광이슈 및 정부 정책 분석
- 『관광학연구』통권 제60호~제90호 권호별 논문 목차 (2007년 4월 ~ 2011년 5월)
- 『관광학연구』에 게재된 관광 행동 연구 동향 분석
- 국내·외 관광자 행동연구의 비판적 검토
- 언어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관광 행동 연구 동향 분석
- 호텔·외식 분야 소비자행동 연구의 지식의 흐름
- 현상학적 관점에서 습관적 여가 행동의 의미
- 관광과 커먼즈
- 코로나19 위험지각 및 스트레스와 갯벌의 지각된 회복환경의 관계 연구
- SOR 이론을 적용한 챗봇 사용 의사결정과정 연구
- 공간계량경제모형을 적용한 호텔객실성과 결정요인분석
- [서평] 『문화관광론: 관광 현상에 대한 문화적 이해』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