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나가키 다루호의 『별을 파는 가게』가 가진 환상성과 사실성의 경계
이용수 5
- 영문명
- The Boundary between Fantasy and Reality in Inagaki Daruho’s Hosi-o Uru Mise: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Extending the Representation of Reality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조헌구(Cho, Hun-Goo)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第99輯, 257~27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この研究では、最初に幻想的な小説と旅行者によるリアリティの表象、そして怪奇的な物語がどのようにノーブルの領域に編入されたのか、そのプロセスを検討した。そして、『星を売る店』の構造を分析し、非日常空間を日常空間として持たされた「私」の物語言説とそれによるプロセスが、先行研究で提起された日常人の視線と旅人の視線、両方からも説明できない部分があることを確認した。その後、このような小説の構造が私小説の文壇でどのような位置を占め、それがモダン的プロットと描写として受け入れられるまで、小説の方法的な面で幻想的な物語の可能性を考察した。 その結果、本研究では『星を売る店』による「私」の物語言説のプロセスを小説のプロットの新たな発見という側面で検証することができ、幻想的な物語のリアリティ獲得が小説方法論として、どのような意味を持つことができるか、その可能性を提起することができた。
영문 초록
In this study, I first examined the process of how the fantastic novel, the representation of reality by the traveler, and the monstrous narrative entered the realm of the noble. Then, through the structural analysis of Hosi-o Uru Mise, the process of the “I” gaze, in which the extraordinary space is held as an everyday space, was distanced from both the gaze of the everyday person and the traveler, both of which were raised in previous studies. The paper then examined the possibility of a fantastic narrative in terms of the methodological aspects of the novel, until it was accepted as a modern plot and description, and what place such a novel‘s structure occupied in the literary circles of private fiction. As a result, this study was able to examine this process in terms of the discovery of the novel’s plot, and to raise the possibility of what the acquisition of reality by the fantastic narrative can mean in terms of a narrative methodology.
목차
1. 들어가며
2. 환상적 소설과 사실성, 그리고 여행기
3. 『별을 파는 가게』의 환상성과 사실성 - ‘나’의 시선이 가지는 이중적 위치
4. ‘다시 쓰기’를 통한 소설 방법론적 가능성 - 환상적 이야기와 사소설 문단 사이
5.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근대 일본 자료의 한자 표현(입력)과 어휘의 상관관계 연구
- 관동대지진, 타자를 향한 시선
- 『日本霊異記』にみる韓日仏教交流
- 식민자2세 고바야시 마사루(小林勝) 문학 속 이향(異鄕)과 이방인들
- 일본 고전문화 및 문학의 확장성과 응용
- 가상현실(VR) 활용과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관계 연구
- 상급 일본어 학습자의 작문에 대한 연구
-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추량표현 「そうだ·ようだ·みたいだ·らしい」의 습득연구
- 일제강점기 『경성일보(京城日報)』의 재조일본인 구연동화와 식민정책
- 興亜院に関する一考察
- 에도시대 여성 전기 작품 연구
- 일본 취업을 위한 공항 지상직 분야 어휘 분석
- 신파비극 장르의 문화적 연속성
- 이나가키 다루호의 『별을 파는 가게』가 가진 환상성과 사실성의 경계
- 『일본서기』 고사본의 한국고유명에 가점된 성점의 형태적 연구
- 従属節と主節の同時·継起を表す「~た途端(に)」について
- 언어전이현상에 관한 실증적 연구
- 미시마 유키오 ‘관념과 육체’의 상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