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 취업을 위한 공항 지상직 분야 어휘 분석
이용수 17
- 영문명
- Analysis of the Vocabulary of Airport Ground Staff in Japan: A Comparison with the Vocabulary for the ‘Japanese Language Proficiency Test’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하주영(Ha, Ju-Young)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第99輯, 153~17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本論文は日本の空港グランドスタッフへの就職を準備している日本語学習者の語彙習得の一助になればと思い、『ANAグランドスタッフ入門』をデータ化し、KH-Coderを利用して品詞別に分析した後、さらに再分析をして、名詞、動詞、形容詞を『日本語能力試験出題基準』の語彙と比較した。なお、品詞別に各級数別の使用語彙数および使用語彙割合を分析したことで、空港グランドスタッフ分野の語彙がどれぐらい収録しているか、また、その他、学習すべき語彙は何かについて調べてみた。その結果、名詞及びナ形容詞は1級までの語彙を身に付けてもグランドスタッフ分野の語彙を名詞は50.72%、ナ形容詞は60.62%しか理解できないことがわかった。したがって名詞は1級以上の語彙とともに空港関連の語彙とローマ字まで学習べきであり、ナ形容詞は1級以上の語彙とともに外来語から作られたナ形容詞まで学習すべきであることが分かった。そして動詞及びイ形容詞は、1級までの語彙を身に付けると、グランドスタッフ分野の語彙を80%以上理解できることがわかった。また、動詞は複合動詞も共に学習すべきであり、イ形容詞は接辞類のついたイ形容詞も共に学習すべきであることがわかった。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vocabulary in ‘Introduction to ANA ground staff’ by using KH-Coder and then compared the nouns, the verbs, and the adjectives to the vocabulary of “Japanese Language Proficiency Test Guidebook” through reanalysis in order to promote the vocabulary acquisition for Japanese learners who wish to work as airport ground staff in Japan. By analyzing the number of words used and the ratio of parts of speech, I examined how much vocabulary was included in the field of airport ground staff in Japan and what other vocabulary should be acquir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N1-level nouns only account for 50.72% of the vocabulary in the field of airport ground staff. It was found that the learners had to learn the vocabulary of N1-level or higher, airline/airport vocabulary, and romanized words. The N1-level na-adjectives only account for 60.62% of the vocabulary in the field of airport ground staff. It was found that the learners had to learn the vocabulary of N1-level or higher and loanwords. The N1-level verbs and i-adjectives account for more than 80% of the vocabulary in the field of airport ground staff. It was found that the learners also had to acquire various compound verbs and suffix-attached i-adjectives.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및 연구방법
3. 「グランドスタッフ」의 품사별 어휘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근대 일본 자료의 한자 표현(입력)과 어휘의 상관관계 연구
- 관동대지진, 타자를 향한 시선
- 『日本霊異記』にみる韓日仏教交流
- 식민자2세 고바야시 마사루(小林勝) 문학 속 이향(異鄕)과 이방인들
- 일본 고전문화 및 문학의 확장성과 응용
- 가상현실(VR) 활용과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관계 연구
- 상급 일본어 학습자의 작문에 대한 연구
-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추량표현 「そうだ·ようだ·みたいだ·らしい」의 습득연구
- 일제강점기 『경성일보(京城日報)』의 재조일본인 구연동화와 식민정책
- 興亜院に関する一考察
- 에도시대 여성 전기 작품 연구
- 일본 취업을 위한 공항 지상직 분야 어휘 분석
- 신파비극 장르의 문화적 연속성
- 이나가키 다루호의 『별을 파는 가게』가 가진 환상성과 사실성의 경계
- 『일본서기』 고사본의 한국고유명에 가점된 성점의 형태적 연구
- 従属節と主節の同時·継起を表す「~た途端(に)」について
- 언어전이현상에 관한 실증적 연구
- 미시마 유키오 ‘관념과 육체’의 상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