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식소비시장의 시장세분화 연구
이용수 51
- 영문명
- The Segmentation of Customers Dining Out: An Application of Latent Class Analysis(LCA)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최규완 방도형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1권 제4호, 131~14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4.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외식소비자의 니즈(needs)와 소비행태가 다양해짐에 따라 마케팅 관점에서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시장세분화(market segmentation)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시장세분화 결과를 바탕으로 외식소비자의 소비행동을 이해하고 목표고객집단을 선정하였다. 연구에 활용된 자료는 2016년 농촌경제연구원에서 실시한 식품소비행태 조사자료이다. 이 자료를 근거로 ‘외식소비행태’ 영역에서 외식소비액, 외식동기, 외식장소, 외식빈도 및 외식선택기준의 5개 범주형 변수를 선정하여 잠재적 계층분석(LCA: latent class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최적 시장개수는 6개로 결정하였다. 도출한 6개의 세분시장의 특성을 프로파일링하고, 외식빈도 및 외식지출을 기준으로 6개 세분 소비집단의 분포를 살펴본 결과 6개 집단 중 2개 집단이 핵심 목표고객집단으로 선정되었다. 첫 번째 집단은 평균 연령 44.4세로 높은 월평균 소비액(171,581원)과 외식빈도(주 평균 6.9회)를 보이는 집단으로 남성비율(64.2%)이 높고, 소득수준은 200∼350만원 미만이 43%에 이르는 집단이다. 두 번째 집단은 평균 연령 42.7세로 월평균 소비액(171,441원)과 외식빈도(주 평균 7.4회)를 보이는 집단으로 남성비율(65.9%)로 높고, 소득수준이 200만원 이상인 소비자가 66%로 타 집단에 비해 소득수준이 높고, 500만원 이상 고소득자가 가장 많은 집단(6.8%)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diversification of dining-out needs and consumer behavior has emerged as a key issue in marketing to segment and identify consumer groups. This study aims to segment and identify the dining-out consumer market using data from “The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2016” collected by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KREI). In order to segment the dining-out market, we employed a Latent Class Analysis(LCA) selecting five categorical variables including “Expense, Motivation, Place, Frequency and Selection criteria” of Dining-out. As a result of the LCA, six classes were identified as being of an optimal number for markets. This paper provides the evidence necessary to profile the attributes of segmented markets respectively. Moreover, we analyzed segmented market distribution based on dining-out frequency and expense so that two areas have been identified as target consumer marke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호텔산업종사자의 협력행동에 대한 상사신뢰 및 동료신뢰의 역할
- 호텔 셰프의 직업 동일시와 조직 동일시가 직업-조직 갈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호텔종사원의 경제적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결정성 요인이 SNS를 통한 호텔 상품광고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 커피브랜드 앱의 개인화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위험,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이 신뢰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커피전문점 서비스품질 속성이 전반적 만족도에 미치는 대칭 및 비대칭 분석
- The Third-Order Factor Model을 활용한 디저트카페의 서비스 품질, 관계 품질, 그리고 충성도 간의 영향관계
- 외식소비시장의 시장세분화 연구
- 배달 앱 품질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행동의도
- 관광전공 대학생이 지각하는 고용주 브랜드 요인에 관한 연구
- AHP를 활용한 비즈니스호텔의 성공적 경영을 위한 기업구매센터 호텔선택속성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 분석
- 시계열 자료를 활용한 치킨 프랜차이즈 기업의 레버리지 효과에 따른 영업순환주기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