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커피브랜드 앱의 개인화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위험,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이 신뢰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9
- 영문명
- The Effect of Perceived Risk,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for Coffee Brand Mobile Apps on Trust and Continuance Intention: Applying Privacy-Calculus Theory and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강지원 남궁영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1권 제4호, 79~9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4.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모바일 마케팅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외식산업에서의 브랜드앱의 개인화서비스에 대한 고객들의 반응 및 고객행동을 프라이버시 계산이론과 기술수용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통하여 브랜드앱의 개인화서비스에 대한 고객들의 지각된 위험, 지각된 유용성 및 지각된 용이성이 브랜드앱에 대한 신뢰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으며, 이와 함께, IPA분석을 통하여 개인화서비스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실시하였다. 브랜드앱의 이용경험이 있는 431명의 고객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IPA 분석결과 여러 가지 개인화와 관련된 기능들 중 ‘모바일앱을 나의 취향에 맞게 꾸밀 수 있는 기능’이 높은 중요도에 비하여 실행도가 낮아 마케팅 노력을 집중해야 할 부분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위험은 브랜드앱 신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은 브랜드앱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앱 신뢰는 행도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외식기업에서의 브랜드앱을 통한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이론적 시사점 및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d the responses of consumers toward personalization of branded mobile apps in the context of the coffee industry based on privacy-calculus theory and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Specifically, the current research identified the effects of a consumer’s perceived risk,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for personalized branded mobile apps on trust and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apps. Also this paper perform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 total of 431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participants who had used coffee brand mobile apps and these samples were analyz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while consumer’s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positively influenced trust in mobile apps, the perceived risk negatively influenced trust in mobile apps. Second, trust in mobile apps positively affected the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apps. These findings offer sever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strategies for the further personalization of branded mobile app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호텔산업종사자의 협력행동에 대한 상사신뢰 및 동료신뢰의 역할
- 호텔 셰프의 직업 동일시와 조직 동일시가 직업-조직 갈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호텔종사원의 경제적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결정성 요인이 SNS를 통한 호텔 상품광고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 커피브랜드 앱의 개인화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위험,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이 신뢰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커피전문점 서비스품질 속성이 전반적 만족도에 미치는 대칭 및 비대칭 분석
- The Third-Order Factor Model을 활용한 디저트카페의 서비스 품질, 관계 품질, 그리고 충성도 간의 영향관계
- 외식소비시장의 시장세분화 연구
- 배달 앱 품질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행동의도
- 관광전공 대학생이 지각하는 고용주 브랜드 요인에 관한 연구
- AHP를 활용한 비즈니스호텔의 성공적 경영을 위한 기업구매센터 호텔선택속성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 분석
- 시계열 자료를 활용한 치킨 프랜차이즈 기업의 레버리지 효과에 따른 영업순환주기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