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호텔산업종사자의 협력행동에 대한 상사신뢰 및 동료신뢰의 역할
이용수 12
- 영문명
- The Role of Leadership Trust and Co-worker Trust on the Cooperative Behavior of Hotel Employees: The Mediating Role of Team Identification and the Moderating Role of Employment Status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전병길 김영중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1권 제4호, 11~2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4.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호텔업 종사자의 상사신뢰 및 동료신뢰가 협력행동에 미치는 과정에서 팀 정체성의 매개효과와 상사신뢰 및 동료신뢰, 팀 정체성, 협력행동 간 관계에서 고용형태(정규직 vs 비정규직)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 및 수도권에 위치한 특급호텔에 근무하는 식음료 및 조리부서 종사자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최종 372명의 자료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사신뢰 및 동료신뢰는 팀 일체감에 또한, 팀 일체감은 협력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검증결과, 상사신뢰 및 동료신뢰와 협력행동 간의 관계에서 팀 일체감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사신뢰 및 동료신뢰가 호텔업 서비스종사자들의 협력행동에 직접적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상사신뢰 및 동료신뢰가 팀 정체성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하여 협력행동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절효과 분석결과, 동료신뢰와 팀 일체감 간 관계에서만 고용형태의 조절효과가 밝혀졌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및 실무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eam identification that becomes pronounced because of the trust in leadership & trust in co-workers and to show that these factors influence subsequent cooperative behavior. Furthermore, the moderating effect of employment status in relationships among the leader trust & co-worker trust, team identification, cooperative behavior of hotel service employees will be analyzed. We conducted a survey of 450 hotel-service employees and analyzed data collected from 372 employees after removing 78 unreliable responses. As a result of a SEM analysis to confirm hypotheses, it was found that leader trust & co-worker trust had a positive effect on team identification. Team identification also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ooperative behavior of hotel service employees. It was found that team identification ha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trust & co-worker trust and cooperative behavior. A moderating effect of employment statu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worker trust and the team identification was also foun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호텔산업종사자의 협력행동에 대한 상사신뢰 및 동료신뢰의 역할
- 호텔 셰프의 직업 동일시와 조직 동일시가 직업-조직 갈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호텔종사원의 경제적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결정성 요인이 SNS를 통한 호텔 상품광고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 커피브랜드 앱의 개인화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위험,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이 신뢰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커피전문점 서비스품질 속성이 전반적 만족도에 미치는 대칭 및 비대칭 분석
- The Third-Order Factor Model을 활용한 디저트카페의 서비스 품질, 관계 품질, 그리고 충성도 간의 영향관계
- 외식소비시장의 시장세분화 연구
- 배달 앱 품질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행동의도
- 관광전공 대학생이 지각하는 고용주 브랜드 요인에 관한 연구
- AHP를 활용한 비즈니스호텔의 성공적 경영을 위한 기업구매센터 호텔선택속성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 분석
- 시계열 자료를 활용한 치킨 프랜차이즈 기업의 레버리지 효과에 따른 영업순환주기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