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방공무원 예비 중간관리자의 리더십 핵심 역량 실태에 관한 연구
이용수 125
- 영문명
- A Study on the Leadership Core Competencies of Local Civil Service Reserve Middle Manager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지희진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19호, 213~22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공공조직인 지방자치단체에 종사하는 중간관리자 공무원의 리더십 핵심 역량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중간관리자의 지속적인 성과 창출을 위한 실무적인 근거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고양특례시 중간관리자(6급) 예비 승진자 134명을 대상으로 리더십 핵심 역량 진단 설문지(업무를 수행할 때 행동 및 중요도에 관한 내용)를 이용하여 자기평가 기입법으로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리더십 핵심역량 중 개인적 속성 및 특질인 도덕성, 열정, 책임감, 청렴성이 다른 역량군에 비해 높게 도출되었으며 특히 청렴성과 도덕성이 본 연구에서는 높게 나왔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종합하여 중간관리자 교육 체계 및 인사제도의 효과적인 방안의 근거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leadership core competencies of middle manager civil servants engaged in local governments, which are public organizations, and to provide practical evidence for the continuous performance creation of middle managers on the basis of this. To this end, 134 prospective promotions of middle managers (6th grade) in the Goyang Special Municipality were derived from the self-evaluation legislation using the Leadership Core Competency Diagnostic Questionnaire (about behavior and importance when performing task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ersonal attributes and traits of the leadership core competencies, morality, passion, responsibility, and integrity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competencies, and in particular, integrity and morality were higher i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will be synthesized and used as a basis for effective measures of the middle manager education system and personnel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안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입학만족도,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진로확신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범죄경력자용 사회적응예측지표 타당도검증
- PC(Precast Concrete)생산품질 확보를 통한 안전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
- 민간경비 중요성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연구
- 보호관찰 청소년 통합 재범위험성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자가 진단을 위한 스마트폰 적용 LED 홍채 렌즈 연구
-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주관적 건강 상태 영향요인
- 핀란드 법무보호복지제도 연구
- 국가수사본부의 합리적 역할방안에 관한 논의
- G시 남자 공무원의 치매 두려움 및 치매 예방교육 요구도가 치매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자율협력주행 및 일반차 혼재 상황 분석을 위한 시나리오 도출 방안 연구
- 정신장애범죄인의 사법적 처우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프로젝트 기반학습을 활용한 간호학개론 수업이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
- 시뮬레이션 팀기반 디브리핑이 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의 임상추론, 비판적 사고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지방공무원 예비 중간관리자의 리더십 핵심 역량 실태에 관한 연구
- 선박 주취운항 관련 법령의 개정방안 연구
- 아바타 성범죄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