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judicial treatment for mentally ill criminal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조현욱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19호, 199~21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범죄의 예방과 정신장애범죄인의 치료 및 재범방지를 위한 사법적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먼저 정신장애인의 개념을 살펴본 결과 각 개별법에서의 정신장애 개념 정의에 따라 그 범위가 다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신장애인의 범죄 비율도 매우 상대적이라고 볼 수 있다. 의학적 특성과 각 개별법의 입법목적에 비추어 볼 때 정신장애인의 개념을 일의적(一義的)으로 개념지우기는 어렵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무리하게 통일적 개념을 정의하기보다는 정신장애인 관련개별법의 목적과 의학적 관점에서 각 정신장애인의 특성에 따른 치료 및 재범방지 목적을 보다 실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더 올바른 방향이라고 할 것이다. 현행 치료명령제도의 개선방안으로 치료명령대상자 범위의 확대, 판결 전 조사제도의 의무화, 복약검사 수인의무 규정 마련, 현행 정신장애범죄인의 사법적 처우가 법원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정신장애범죄인 등을 대상으로 한 전담법원 내지 전담재판부 신설, 나아가 현행법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형 집행 종료 후 치료제도’ 도입을 제시하였다. 정신장애인의 개념 분화에서 보듯이 의료와 사법 양 영역 간 조화와 협력을 통한 대응체계의 개선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정신장애인 범죄의 예방 및 정신장애범죄인의 재범방지라는 형사정책적 목적을 보다 실효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goes on This paper goes on comparative study on the judicial treatment for mentally ill criminals. This study seeks judicial countermeasures for the prevention of mental disorder crimes, treatment of mentally ill criminals, and prevention of recidivism.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ncept of mental disorder, it can be seen that the scope differs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mental disorder in each individual law. Even if the scope is different, if such a mental disorder or mentally ill person belongs to the category of mentally ill subject to judicial treatment such as treatment orders, the category of mentally disabled can be considered relative. The problems with the current treatment order system are the limited scope of treatment order subjects, the voluntary pre-judgment investigation system, the inadequacy of the compulsory prescription for taking medication tests, the issue of dual treatment orders and execution, and the absence of treatment plans after the execution of the sentence is over. As an improvement plan considering the human rights of criminals with mental disorders, the scope of treatment orders is expanded, the pre-judgment investigation system is mandatory, the regulation on the obligation to take medication tests, improvement of cost burden regulations, and the current judicial treatment of mentally ill criminals are mainly focused on the general court. In consider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a mental health court or a dedicated tribunal for mentally ill criminals, and the fact that there is no treatment plan for mentally handicapped criminals whose sentences have been completed under the current law, 'Therapy after termination of execution of sentences' etc. were presente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prevent crime through ‘preemptive treatment’ of the mentally disabled.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scope of this study, it does not suggest ways to improve the response system through harmoniz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medical and judicial fields. Therefore, in this study, only improvement measures were presented as above to more effectively achieve the criminal policy or crime safety objective of preventing recidivism of mentally ill criminals.
목차
Ⅰ. 서론
Ⅱ. 정신장애인의 개념과 정신장애범죄인의 범죄 현황
Ⅲ. 치료명령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Ⅳ. 나오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입학만족도,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진로확신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범죄경력자용 사회적응예측지표 타당도검증
- PC(Precast Concrete)생산품질 확보를 통한 안전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
- 민간경비 중요성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연구
- 보호관찰 청소년 통합 재범위험성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자가 진단을 위한 스마트폰 적용 LED 홍채 렌즈 연구
-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주관적 건강 상태 영향요인
- 핀란드 법무보호복지제도 연구
- 국가수사본부의 합리적 역할방안에 관한 논의
- G시 남자 공무원의 치매 두려움 및 치매 예방교육 요구도가 치매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자율협력주행 및 일반차 혼재 상황 분석을 위한 시나리오 도출 방안 연구
- 정신장애범죄인의 사법적 처우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프로젝트 기반학습을 활용한 간호학개론 수업이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
- 시뮬레이션 팀기반 디브리핑이 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의 임상추론, 비판적 사고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지방공무원 예비 중간관리자의 리더십 핵심 역량 실태에 관한 연구
- 선박 주취운항 관련 법령의 개정방안 연구
- 아바타 성범죄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