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뮬레이션 팀기반 디브리핑이 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의 임상추론, 비판적 사고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40
- 영문명
- Effects of Team-based Debriefing in Simulation on Clinical Judgement, Critical Thinking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Undergraduate Health Profession Students: Case Study Based on Tanner’s Clinical Judgement Model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손해경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19호, 143~15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대학 교육에서 보건의료계열의 시뮬레이션 교육이 증가하면서 디브리핑의 표준화된 가이드라인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팀 기반 디브리핑이 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의 임상추론, 비판적 사고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22년 3월 2일부터 4월 20일까지 일개 대학의 시니어케어 융합 임상 교과목에 자발적으로 수강을 희망하는 보건의료계열 3학년 대학생 가운데 간호학과 3명, 치위생학과 1명으로 구성된 총 3개 그룹, 총 12명을 대상으로 단일군 사전 사후 유사실험설계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Tanner의 임상추론모델인 상황인지, 해석, 반응, 성찰단계를 중심으로 시뮬레이션 팀 기반 디브리핑을 포함한 교육활동을 제공하고 임상추론 루브릭, 비판적 사고척도와 학습만족도 10점 평정척도(NRS)의 구조화된 설문지로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사전 및 사후 설문은 각 5분 이내로 소요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Ver. 22.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Cronbach’s α 계수 및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임상 추론은 사전 평균 30.50±1.88점과 비교해 사후 평균 34.33±3.26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Z=2.76, p=.006) 비판적 사고는 사전 평균 98.00±8.75점과 비교해 사후 평균 106.08±11.03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Z=2.94, p=.003). 사후 학습만족도는 10점 가운데 9.92±0.29점으로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시뮬레이션 팀 기반 디브리핑이 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의 핵심 역량인 임상추론과 비판적 사고의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이에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팀 기반 디브리핑을 적용한 교육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추후 팀 기반 디브리핑의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With the recent increase in simulation in the field of health profession education, the standardized guidelines for debriefing ar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eam-based debriefing in simulation on clinical judgement, critical thinking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undergraduate health profession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2 to April 20, 2022. This study was used a one-group,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subjects were third-yea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and dental hygiene at a university in S city. A total of 12 undergraduate students studying health professions wished to voluntary participate in a course called “Senior Care Convergence Clinical Practicum”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small groups with three nursing students and one dental hygiene student, and participated in team-based debriefing in simulation for senior care. Team-based debriefing was based on Tanner’s Clinical Judgement Model (noticing-interpreting-responding-reflecting). Data was collected by a structured questionnaires including clinical judgement rubrics, critical thinking scale and learning satisfaction numeric rating scale (1-10). The pre- and post- surveys took about 5 minute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α coefficien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using SPSS Statistics Ver. 22.0.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ubjects’ clinical judgement (Z=2.76, p=.006) and critical thinking (Z=2.94, p=.003) after participating team-based debriefing in simulation. Especially, posttest value (Mean±SD : 34.33±3.26) of clinical judgement had increased compared to pretest value (Mean±SD : 30.50±1.88), and posttest value (Mean±SD : 106.08±11.03) of critical thinking had increased compared to pretest value (Mean±SD : 98.00±8.75). Learning satisfaction after participating team-based debriefing in simulation was 9.92±0.29 points out of 10 points.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 that team-based debriefing in simulation contribute to enhancing clinical judgement and critical thinking as core competencies of health profession students.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ed the future study for development of team-based debriefing guideline, based on these finding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입학만족도,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진로확신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범죄경력자용 사회적응예측지표 타당도검증
- PC(Precast Concrete)생산품질 확보를 통한 안전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
- 민간경비 중요성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연구
- 보호관찰 청소년 통합 재범위험성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자가 진단을 위한 스마트폰 적용 LED 홍채 렌즈 연구
-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주관적 건강 상태 영향요인
- 핀란드 법무보호복지제도 연구
- 국가수사본부의 합리적 역할방안에 관한 논의
- G시 남자 공무원의 치매 두려움 및 치매 예방교육 요구도가 치매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자율협력주행 및 일반차 혼재 상황 분석을 위한 시나리오 도출 방안 연구
- 정신장애범죄인의 사법적 처우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프로젝트 기반학습을 활용한 간호학개론 수업이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
- 시뮬레이션 팀기반 디브리핑이 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의 임상추론, 비판적 사고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지방공무원 예비 중간관리자의 리더십 핵심 역량 실태에 관한 연구
- 선박 주취운항 관련 법령의 개정방안 연구
- 아바타 성범죄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