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장애인 평생교육 정책의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이용수 822
- 영문명
- A Study on Lifelong Education Policy Development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한국평생교육학회
- 저자명
- 김두영(Kim, Doo Young)
- 간행물 정보
- 『평생교육학연구』제28권 제3호, 229~260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 장애인 평생교육 정책의 발전과정을 역사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외국의 장애인 평생교육 가치 및 지원체제와 비교하여 한국 장애인 평생교육 정책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국가나 지자체가 발행한 문서, 관련 법령, 단행본, 보도자료, 논문, 협회 자료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론적 배경에서 미국, 호주, 일본 등 교육선진국의 장애인 평생교육 가치와 지원체계를 탐색했다. 국내 장애인 평생교육 정책의 발전과정은 정책의 획기적인 변동 시기를 중심으로, 부재기(~1998년), 도입기(1999년~2007년), 확대기(2008년~2015년), 도약기(2016년~현재)로 구분하여 각 시대별 한국의 장애인 평생교육 정책과 현장의 실천 과정을 심층·분석하였다. 한국 장애인 평생교육 정책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 논의한 결과, 장애인들이 일반 평생교육기관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 조성, 정부 주도가 아닌 지역별 평생교육기관이 주도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보급·운영 체제로의 전환, 장애인 평생교육을 관장하는 정부 부처의 일원화, 통합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확대 등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ifelong education poli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South Korea in a historical point of view, make comparisons with value and support systems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foreign countries and ultimately seek ways to promote lifelong education poli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South Korea. In order to perform this study, a wide variety of data such as official documents issued by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relevant provisions, publications, press releases, journals and papers issued by relevant organizations were collected and put into use for in-depth analysis. In theoretical background, the author assessed lifelong education support systems and its valu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the United States, Australia and Japan. By dividing up the domestic lifelong education policy developments into the age of absence (~1998), introduction (1999-2007), enlargement (2008-2015) and progress (2016 until present) mainly based on dramatic shift periods, the author closely analyzed the domestic lifelong education policy and practice in South Korea by the defined individual period. What has been discussed on the path forward for the domestic lifelong education poli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freely allowed to make use of ordinary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s. Also, it is important to make shifts to developing, distributing lifelong education programs not operated by the government, but by relevant local organizations. Lastly, reducing multiple institutions into a single governmental body tasked with lifelong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expansion of integrate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re requir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한 수직척도화
-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주요 예측변수 탐색: XGBoost 및 SHAP 적용
- 초등학교 수학 기초학력 진단검사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및 예측 모형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