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 연구

이용수 136

영문명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media liter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발행기관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저자명
최현정(Choi, Hyun-Jung) 김성숙(Kim, Sung-Suk)
간행물 정보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26권 제3호, 223~24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이 어떠한지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의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예비유아교사 258명을 대상으로 권지혜(2017)와 김선아(2021)가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개발한 검사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도출된 내용은 PASW 18.0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예비유아교사로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반면,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 자체에 대한 인식 정도는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요소별 인식이 어떠한지 살펴본 결과, 미디어의 비판적 이해에 대한 인식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미디어를 활용한 사화적의사소통, 미디어 활용 윤리, 미디어의 특성 이해, 미디어를 활용한 표현 순으로 나타났다. 하위 요인별로 살펴보면 미디어의 비판적 이해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미디어를 활용한 사회적 의사소통, 미디어 활용 윤리, 미디어의 특성 이해, 미디어를 활용한 표현 순으로 나타났다. 학년별로 살펴보면 미디어리터러시에 대한 이해정도는 학년간 유의미한 인식차이를 보였다. 특히, 미디어의 비판적 이해와 미디어활용 윤리는 활용 윤리의 경우 학년 간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래 사회에 보다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예비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증진 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가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kindergarten early childhood teachers on media literacy. For this purpose, 258 pre-school teachers enroll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universities were targeted. The research tool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with the test tool developed by Jihye Kwon (2017) and Seonah Kim (2021)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media literacy. The derived contents were analyzed using the PASW18.0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ception of media literacy of preschool teachers was high while the awareness of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itself was low. Second, pre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media literacy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e average of pre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media literacy. As a sub-factor, critical understanding of media was the highest, followed by social communication using media, media usage ethics, understanding of media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using media. When viewed by grade level, media literacy comprehens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by grade level.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critical understanding of media and media use ethics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academic year.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ducation to improve media literacy competency of kindergarten teachers who can more actively respond to the future societ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현정(Choi, Hyun-Jung),김성숙(Kim, Sung-Suk). (2022).예비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6 (3), 223-243

MLA

최현정(Choi, Hyun-Jung),김성숙(Kim, Sung-Suk). "예비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6.3(2022): 223-2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