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교육 교수자의 원격수업 운영 현황 및 인식

이용수 55

영문명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ructors’ teaching practice and perceptions of distance learning
발행기관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저자명
최일선(Choi, Il-Sun) 이승연(Lee, Seong-Yeon) 이진화(Lee, Jin-Wha)
간행물 정보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26권 제3호, 113~13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로 인하여 온라인 기반 원격수업을 시행한 유아교육 교수자의 원격수업운영 현황과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육관련 교과목을 강의하는 교수자 139명을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로 분석하였고, 주요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 교수자의 약 76%는 코로나19이전 원격수업 경험이 없었으며, 원격수업을 위해 연수를 받은 경험은 응답자의 약 82%로 높게 나타났다. 실시간쌍방향수업과 동영상콘텐츠수업을 병행하는 유형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직접 개발한 자료를 사용하는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 교수자가 가장 많이 활용하는 유형인 실시간쌍방향과 동영상콘텐츠병행 수업이 가장 효과적이라고인식하였고, 비대면수업과 대면수업의 효과는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였는데, 교수자-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원격수업의 장점으로는 시공간의 제약이 없다는 점과비접촉으로 인한 편리성이 90%이상의 높은 응답율을 보였다. 원격수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른항목들도 높게 나타났으나, 학습자의 참여와 관련한 항목의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에도 원격수업을 일부라도 도입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이 70%를 상회하였다. 질높은 원격수업을 위해교수자는 학생과의 상호작용기술, 원격수업 역량 함양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높았고, 대학차원에서는 원격수업을 위한 교수자 역량지원, 기술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원격수업에서중요한 교수자의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체계적인 시스템 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aching practice and perceptions of distance learning amo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ructors who have implemented online-based distance learning due to COVID-19. For this purpose, 139 instructors who taught early childhood education courses participated an online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bout 76%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ructors had no experience of distance learning before COVID-19, and the training experience of distance learning was high at about 82%.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ructors utilized the combination of real-time interactive classes and video content classes the most, and the frequency of using materials developed by them was high. Second,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ructors recognized that the combination of real-time interactive classes and video content classes was the most effective and perceived the effect of non-face-to-face classes and face-to-face classes to be different, and a main reason of the difference was in the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As the advantages of distance learning, more than 90% of the instructors chose no time and space constraints and convenience due to non-contact.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distance learning, they recognized that various improvements were needed, and among them, strengthening learners’ participation was the most necessary. More than 70% of the instructors answered that they are willing to continue at least some of the distance learning after COVID-19. For high-quality distance learning, they perceived that the instructors should develop interaction skills with learners and competencies related to distance learning, while universities should support instructors’ competencies for distance learning and make technical improvements.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prepare a support system that reinforce instructor’s competencies for distance learning.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일선(Choi, Il-Sun),이승연(Lee, Seong-Yeon),이진화(Lee, Jin-Wha). (2022).유아교육 교수자의 원격수업 운영 현황 및 인식.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6 (3), 113-132

MLA

최일선(Choi, Il-Sun),이승연(Lee, Seong-Yeon),이진화(Lee, Jin-Wha). "유아교육 교수자의 원격수업 운영 현황 및 인식."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6.3(2022): 113-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