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20년 코로나 상황에서 비대면 유아교육의 현황과 장기화에 대한 유치원교사, 어머니의 인식 및 요구

이용수 78

영문명
The Perception and Requirement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Mothers on the Status of Distance Education and the Long Term of COVID-19 in 2020
발행기관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저자명
김민정(Kim, Min-Jung)
간행물 정보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26권 제3호, 37~5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가 시작된 2020년 유아의 가정생활과 유치원에서의 비대면 교육 및 코로나 상황의장기화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 및 요구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유치원교사383명, 어머니 889명, 총 1,272명을 대상으로 2020년 11월 2일에서 10일 사이 온라인설문을 진행하였으며, 빈도분석과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2020년 코로나 상황에서 유아들은 가정에서 부모·형제와 함께 유치원에서 제공해준 놀이꾸러미와 영상콘텐츠를 경험했으며, 유치원교사는 기 제작된 콘텐츠가, 어머니는 유치원에서 제작한 콘텐츠, 실시간 쌍방향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양질의 놀이꾸러미 개발이 필요하다는 의견은 같았으나, 유치원교사는 국가 수준의 공신력 있는 콘텐츠가, 어머니는 쌍방향 소통이 가능한 교육 필요성을 강조하여 차이를 보였다. 둘째, 2020년 코로나 상황에서 비대면 교육이 장기화되는 것에 대해 사회성을 비롯한 발달지연, 교육격차 등에 대해 우려했으며, 유치원교사는 이에 더해 역할갈등의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상황이 장기화되면 비대면교육을 위한 체계적이고 형평성 있는 시스템 구축을 통해 교육격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고하였다. 코로나 상황의 장기화로 인해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는 중에서도 교사와 유아의 비율이 줄어서양질의 교육과 유아 건강교육에는 도움이 되었으며, 가족 중심의 문화와 맞춤형 교육이 가능했다는 순기능에 대한 언급도 있었다. 이를 통해 비대면 유아교육에 대한 방향성, 공신력 있는 기관 주도의 비대면교육 관리, 교사-유아의 비율에 대한 재고, 맞춤형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aily lives of young children at home, the distance education in kindergartens, and the perceptions and requirements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the prolonged COVID-19 situation during 2020. The participants were 1,272(383 kindergarten teachers and 889 parents) and were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and difference verification. Two conclusions were made from the following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young children spent time at home with their parents and siblings through education(play) package and video contents that were serviced by their kindergartens. The kindergarten teachers provided play packages and video content.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pre-produced contents, but mothers were satisfied with the contents produced by kindergartens and real-time interactive education than pre-produced contents. However, their common stance was that the development of high-quality education(play) packages was necessary, but within their shared opinion, kindergarten teachers responded that national-level public trust content was needed, while mothers emphasized the need for education that enables two-way communication. Second, they were concerned about the prolonged distance education due to COVID-19 in 2020, the delay in sociality and development, and the educational gap in childre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kindergarten teachers had difficulty in role conflict. As the COVID-19 situation is prolonged, effort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a systematic and equitable system for distance education in order to prevent the educational gap in children. Despite the great difficulties caused by the prolonged COVID-19 situation, there were a few survey participants mentioning the benefits such as family-centered culture and individual customized education, as well as quality education and health education made possible by the decreased ratio of teachers and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it was possible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distance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ublic trust-led distance education management, reconsideration of the teacher-child ratio, and the need for customized educa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정(Kim, Min-Jung). (2022).2020년 코로나 상황에서 비대면 유아교육의 현황과 장기화에 대한 유치원교사, 어머니의 인식 및 요구.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6 (3), 37-58

MLA

김민정(Kim, Min-Jung). "2020년 코로나 상황에서 비대면 유아교육의 현황과 장기화에 대한 유치원교사, 어머니의 인식 및 요구."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6.3(2022): 37-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