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Graphic Deconstruction of Spatially Marked Race in Miné Okubo's Citizen 13660
이용수 13
- 영문명
- Graphic Deconstruction of Spatially Marked Race in Miné Okubo's Citizen 13660
- 발행기관
- 한국영미어문학회
- 저자명
- 신이현(Yihyun Shin)
- 간행물 정보
- 『영미어문학』제146호, 291~31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Miné Okubo's Citizen 13660 is an autobiographical graphic novel about the Japanese concentration camp during the Second World War. From the perspective of an evacuee and Japanese American, Citizen 13660 rewrites Japanese American identity, which confronts the rhetoric of “enemy race” and the frontier myth that normalized the camp. The graphic novel reveals how deeply the War Relocation Authority (WRA) engaged in the spatial and social exclusion of the minority groups and, by doing so, negatively affected their racial identities. Shedding light on Lefebvre’s theory of the spatiality of power, which emphasizes that spatial order reflects the society’s hegemonic power and shapes the dwellers’ identity, this paper will analyze how the state power deindividualized and criminalized people of Japanese ancestry as a homogenous crowd of “enemy race” through spatial control. This paper will also investigate how Citizen 13660 creatively visualizes, reenacts and re-examine the WRA’s spatial politics with its spatial elements (the shape of panels or the arrangements of gutters, panels, lines, and objects), borrowing McCloud’s analysis of the spatiality of the graphic novel. With unique arrangements of spatial elements in Citizen 13660, Okubo asserts the necessity to dismantle the biologically essentialist concept of race, re-individualize people of Japanese ancestry, and challenge the legitimacy of the camp.
목차
1. Introduction
2. Photograph Exhibition and Prison-like Panel and Line Arrangement: “To See What Designed Not to be Seen”
3. Spatial Reconstruction of the Identity: Partition and Restoration of Individuality
4. Conclusion
Works Cited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올슨과 물리학 그리고 '객체주의'
- Unveiling Mariana’s Inner Mind: Alfred Lord Tennyson and Julia Margaret Cameron
- 명시적 문법 지도와 본문 강화가 완료 구문 습득에 미치는 영향
- Homer’s Odyssey Once More: Magical Stories and Spellbound Audiences
- 루이스 어드릭의 『사랑의 묘약』에 나타난 치페와 원주민의 외상회복의 두 차원
- 시대와 지역을 가로지르는 여성 낙원
- 『파우스투스 박사』에 함축된 종교적·정치적 저항과 도덕극의 재해석
- 신유물론의 타자의 윤리
- 유사성을 기반으로 한 영어와 한국어 랩의 라임쌍 비교 분석
- 노인 치매와 가족 돌봄
- Graphic Deconstruction of Spatially Marked Race in Miné Okubo's Citizen 13660
- Teach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he Asian EFL Context: A Systematic Research Synthesis
- 영어 그림책 상호소통형 낭독 방식 영어 학습이 초등학생의 정의적 영역에 주는 영향
- 광기와 예언의 시학
- 폭력에 저항하기: 『처음에 심장이 사라졌을 때는 텅 빈 것 같았지만 이제 괜찮아요』와 『렐라와 동료들』에 재현된 스토리텔링의 정치학
- 한국 중등학생의 영어 통사구조 인식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EFL Students’ Perceptions of ChatGPT Feedback in IELTS Opinion Essays
- 영화 활용을 통한 제2언어 학습에서 맥락의 역할에 대한 연구: 원어민과 유사한 선택과 형태-의미 짝짓기를 기준으로
- 영화 기반 멀티미디어 수업을 통한 EFL 여대생들의 어휘력과 자아 이미지 향상 연구: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