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 치매와 가족 돌봄
이용수 375
- 영문명
- Senile Dementia and Family Caregiving: Florian Zeller’s The Father on Stage and Screen
- 발행기관
- 한국영미어문학회
- 저자명
- 정선아(Chung Suna) 박희본(Heebon Pak)
- 간행물 정보
- 『영미어문학』제146호, 131~15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크리스토퍼 햄튼의 영어 번역극으로 2014년 영국에 소개된 플로리앙 젤레르의 2012년 심리극 원작『아버지』와 2020년 각색 영화 <더 파더>에서 주인공의 노인 치매가 기억과 정체성 혼란, 가족의 돌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극화되는지를 분석한다. 연극과 영화는 치매가 아동기로의 회귀로 진행됨에 따라 아버지가 겪는 권위와 통제력 상실이라는 실존적 위기를 묘사한다. 원작극은 에피소드식 짧은 장면 구성과 미니멀한 무대 설정을 통해, 잃어버린 시계에 대한 집착으로 상징되는 치매 아버지의 파편화된 현실을 딸과 다른 등장인물의 실제 현실과 대조한다. 햄튼과 젤레르가 공동각본을 집필하고 젤레르가 감독한 영화는 원작극의 플롯에 충실하되 시공간적 인식의 혼란과 현실 파악에 어려움을 겪는 주인공의 밀실 공포증과 이로 인한 내적 취약성을 영화적 이미지로 효과적으로 부각한다. 영화는 원작극의 공간과 스토리를 외부로 확대하기보다는, 주인공의 주관적 시각으로 더욱 좁혀들어가고 노인 치매 환자의 내막과 두려움을 극대화하는 각색 전략을 택한다. 원작극 및 각색 영화에서 부각된 이러한 치매의 내막 묘사는 환자의 관점에서 치매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계기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주목할 만하며, 이를 통해 현대사회의 시급한 이슈, 특히 정신건강에 대한 독자와 관객의 관심을 촉구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Christopher Hampton’s 2014 translation of Florian Zeller's 2012 play, The Father, and its 2020 film adaption. Both portray the loss of patriarchal authority and reversion to childhoo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itle character. The play uses episodic short scenes in a minimalist setting, whereas the film, with its screenplay by Hampton and Zeller, focuses on the protagonist’s claustrophobic inner vulnerability and the frustrations of his care-givers. Rather than opening out the mise-en-scène, the film adaptation maximizes the internal landscape, with its fear of senility and loss of identity, as experienced by an elderly dementia patient. This paper argues that the ‘insider’ portrayal of dementia in the play and the film promotes awareness-raising, encouraging audiences to engage with the representation of urgent social issues, and with mental health in particular.
목차
1. 서론
2. 치매, 의식의 혼란, 정체성 소멸의 과정
3. 내면으로의 초점 축소: 영화적 재현의 효과
4. 결론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올슨과 물리학 그리고 '객체주의'
- Unveiling Mariana’s Inner Mind: Alfred Lord Tennyson and Julia Margaret Cameron
- 명시적 문법 지도와 본문 강화가 완료 구문 습득에 미치는 영향
- Homer’s Odyssey Once More: Magical Stories and Spellbound Audiences
- 루이스 어드릭의 『사랑의 묘약』에 나타난 치페와 원주민의 외상회복의 두 차원
- 시대와 지역을 가로지르는 여성 낙원
- 『파우스투스 박사』에 함축된 종교적·정치적 저항과 도덕극의 재해석
- 신유물론의 타자의 윤리
- 유사성을 기반으로 한 영어와 한국어 랩의 라임쌍 비교 분석
- 노인 치매와 가족 돌봄
- Graphic Deconstruction of Spatially Marked Race in Miné Okubo's Citizen 13660
- Teach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he Asian EFL Context: A Systematic Research Synthesis
- 영어 그림책 상호소통형 낭독 방식 영어 학습이 초등학생의 정의적 영역에 주는 영향
- 광기와 예언의 시학
- 폭력에 저항하기: 『처음에 심장이 사라졌을 때는 텅 빈 것 같았지만 이제 괜찮아요』와 『렐라와 동료들』에 재현된 스토리텔링의 정치학
- 한국 중등학생의 영어 통사구조 인식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EFL Students’ Perceptions of ChatGPT Feedback in IELTS Opinion Essays
- 영화 활용을 통한 제2언어 학습에서 맥락의 역할에 대한 연구: 원어민과 유사한 선택과 형태-의미 짝짓기를 기준으로
- 영화 기반 멀티미디어 수업을 통한 EFL 여대생들의 어휘력과 자아 이미지 향상 연구: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