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대와 지역을 가로지르는 여성 낙원
이용수 82
- 영문명
- Women Paradise Across Time and Regions: Paradise and Park-ssi-jeon.
- 발행기관
- 한국영미어문학회
- 저자명
- 정주영(Juyoung Jung)
- 간행물 정보
- 『영미어문학』제146호, 153~17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토니 모리슨의 『파라다이스』와 한국 고전소설 『박씨전』에 나타난 여성공동체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 두 공동체는 몇 개의 공통점이 있는데 첫째, 가부장제가 그들의 몸에 가한 억압으로 인해 여성들이 그들 자신의 공동체를 만든다는 점인데,『파라다이스』의 “수녀원”과 『박씨전』의 피화당이 그것이다. 두번째, 두 공동체는 구성원들을 치유할 뿐만 아니라 새 삶을 위한 에너지를 제공한다. 그 과정에서 공동체는 환상공간으로 기능한다. 게다가 그 공동체는 처음에는 자발적인 고립을 택하지만 시간이 가면서 자신들 낙원의 공동체로서의 면모를 이웃 여성들, 심지어 자신들과 적대적인 집단에 속한 여성들에게까지 확장한다. 그러나 그것들은 한계가 있는데 “수녀원” 구성원들이 타인을 돌보는 어머니 역할에 사로잡혀 있기에 수녀원은 '불완전한 여성낙원'이라 할 수 있다. 또『박씨전』의 주인공 은 가부장제에 너무 타협적이며 그 결과 피화당은 '일시적 여성낙원'에 머문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두 공동체는 단순한 여성공동체가 아니라 시대와 지역을 가로지르는 여성낙원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studies two women communities in Paradise written by Toni Morrison and Park-ssi-jeon, a Korean ancient novel in perspective of comparative literature. They have common things. First, the women established their own communities, “convent” in Paradise and PiWhaDang in Park-ssi-jeon due to the pressure on their bodies by patriarchy. Second, the two communities not only heal the members but also offer energy for new lives. In the process, the communities function fantastic places. Additionally, although the two places choose voluntary isolation at first, they spread the aspects of paradise to their neighbor women, even to those who are in the enemy groups as time goes by. They have limits, however, which means that the members of “convent” are so obsessed with the role of a mother who cares for others that the convent can be said to be an ‘imperfect women paradise’. Park-ssi, the protagonist in Park-ssi-jeon, takes too much compromising attitude for patriarchy, and as a result, the Pihwadang stays in a ‘temporary paradise for women’. In conclusion, in spite of the limitations of the communities, the two spaces are not just women's communities, but women's paradise across times and regions.
목차
1. 서론
2. 여성 낙원의 형성과 상황
3. 여성 낙원의 기능과 특징
4. 여성 낙원의 확장
5. 여성 낙원의 한계
6. 결론
인용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올슨과 물리학 그리고 '객체주의'
- Unveiling Mariana’s Inner Mind: Alfred Lord Tennyson and Julia Margaret Cameron
- 명시적 문법 지도와 본문 강화가 완료 구문 습득에 미치는 영향
- Homer’s Odyssey Once More: Magical Stories and Spellbound Audiences
- 루이스 어드릭의 『사랑의 묘약』에 나타난 치페와 원주민의 외상회복의 두 차원
- 시대와 지역을 가로지르는 여성 낙원
- 『파우스투스 박사』에 함축된 종교적·정치적 저항과 도덕극의 재해석
- 신유물론의 타자의 윤리
- 유사성을 기반으로 한 영어와 한국어 랩의 라임쌍 비교 분석
- 노인 치매와 가족 돌봄
- Graphic Deconstruction of Spatially Marked Race in Miné Okubo's Citizen 13660
- Teach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he Asian EFL Context: A Systematic Research Synthesis
- 영어 그림책 상호소통형 낭독 방식 영어 학습이 초등학생의 정의적 영역에 주는 영향
- 광기와 예언의 시학
- 폭력에 저항하기: 『처음에 심장이 사라졌을 때는 텅 빈 것 같았지만 이제 괜찮아요』와 『렐라와 동료들』에 재현된 스토리텔링의 정치학
- 한국 중등학생의 영어 통사구조 인식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EFL Students’ Perceptions of ChatGPT Feedback in IELTS Opinion Essays
- 영화 활용을 통한 제2언어 학습에서 맥락의 역할에 대한 연구: 원어민과 유사한 선택과 형태-의미 짝짓기를 기준으로
- 영화 기반 멀티미디어 수업을 통한 EFL 여대생들의 어휘력과 자아 이미지 향상 연구: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