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호랑이 물리친 여자> 설화의 여성 영웅 서사적 성격과 자유주의 페미니즘
이용수 192
- 영문명
- Female Heroic Narrative Personality and Liberal Feminism of the Woman Who Defeated the Tiger Tales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저자명
- 김순재(Gim Sun-jae)
- 간행물 정보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44권, 159~18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호랑이 물리친 여자> 설화의 서사 구조를 살핌으로써, 설화에 나타난 등장인물의 여성 영웅적 성격과 자유주의 페미니즘적 요소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성 역할 및 성차별이 엄격했던 전근대사회의 여성들이 이 설화를 향유했던 이유와 가부장적 남성 중심사회에서 이 설화가 상징하는 바를 고찰하였다.
첫째, <호랑이 물리친 여자> 설화에는 여성 영웅적 성격이 잘 드러나 있다. 주인공인 여자는 범인(凡人)은 가지고 있지 않은 용기와 지혜를 통해, 호식 당할 위험에도 굴하지 않고 꾀를 냄으로써 호랑이 퇴치에 성공하고 승리자가 된다. 남성 중심사회에서 여성들은 <호랑이 물리친 여자> 설화와 같이 여성 민중 영웅의 활약이 담긴 설화를 향유하며, 사회를 비판하고 억제된 사회에서 간접적으로나마 화의 분출과 욕구의 해소 등을 통해 통쾌함을 느꼈을 것이다.
둘째, <호랑이 물리친 여자> 설화에는 자유주의 페미니즘이 잘 나타나 있다. 주인공인 여자는 가부장적 남성 중심사회에서의 성 역할을 혁파하고, 호랑이라는 현실의 난관을 개인적 노력·능력으로 극복하는 주체성 있는 존재이다. 호랑이는 남성·남성 중심사회·성차별 등을 표상하며, 주인공 여자는 여성·여성 해방 등을 상징한다. 이로써 여자의 호랑이 퇴치는 남성 중심사회에 대한 여성의 승리·여성 해방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당시 이 설화를 향유하던 여성들은 <호랑이 물리친 여자> 설화의 주인공에, 가부장적 남성 중심사회에서 주체성 없이 사는 자신들을 투영시킴으로써 주체성 있는 삶을 살고 싶은 의지를 표출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dentified the female heroic personality and liberal feminism of the characters in the tales by examining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woman who defeated the tiger tales. Through this, I examined the reason why who women of the premodern society, where gender roles and sexism were strict, enjoyed this tales, and what this tale symbolizes in the patriarchal male-centered society.
First, the woman who defeated the tiger tales clearly reveal the female heroic personality. The main character, the woman, succeeds in defeating tiger and becomes a winner by making a trick in spite of giving in to the risk of being eaten by tigers through courage and wisdom that ordinary people don't have. In the male-centered society, women would have criticized the society, enjoying the tales of the performance of female people’s heroes, such as the woman who defeated the tiger tales, and would have felt pleasant through indirect eruption of anger and resolution of desire in a suppressed society.
Second, the woman who defeated the tiger tales clearly represent the liberal feminism. The main character, the woman, is an independent being who breaks the gender role in the patriarchal male-centered society and overcomes the reality difficulties of tiger with personal effort and ability. The tiger symbolizes male, male-centered society, sexism, etc., and the main female character symbolizes women and women’s liberation, etc,. Hereby defeating tiger of woman can be interpreted as women’s victory and women's liberation over the male-centered society. At that time, women who were enjoying this tales would have expressed their will to live a independent life by reflecting themselves living without subjectivity in the patriarchal male-centered society into the protagonist of the the woman who defeated the tiger tales.
목차
1. 서론
2. <호랑이 물리친 여자> 설화의 자료와 서사
3. <호랑이 물리친 여자> 설화의 여성 영웅 서사적 성격
4. <호랑이 물리친 여자> 설화에 나타난 자유주의 페미니즘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문학분야 NEW
- 1960년 전후에 발생된 북한 옛이야기집의 변화 양상에 대한 고찰 - 조선작가동맹과 과학원의 자료집을 중심으로 -
- 구비문학에서 노인 여성의 형상과 역할 - <팥죽할멈>과 <마고할미>에서 일상 세계의 기호로서의 ‘할머니’ -
- <장끼전>에 나타난 까투리의 애도 과정 연구 - ‘이중 과정 모형’을 중심으로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