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대전환기 내방가사에 나타난 여성들의 교육담론과 의미

이용수 83

영문명
Discourse and Meaning of Women’s Education in Naebanggasa during Modern Transition Period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최은숙(Choi, Eunsook)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44권, 133~15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근대전환기 내방가사에 나타난 여성들의 교육담론 양상과 의미를 고찰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내방가사는 근대전환기 여성교육에 대한 담론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텍스트이다. 특히 신문·잡지 등의 근대적 매체나 여훈서 등의 전통 교육서와는 별도로 여성 스스로의 인식을 확인할 수 있어 더욱 중요하다. 선행연구에서도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내방가사에 담긴 여성 담론에 대해 살핀 바가 있다. 그러나 여성 담론의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어 여성교육에 대한 보다 집중적인 조명은 더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고는 특히 교육에 대한 여성 스스로의 인식과 담론 양상을 주목하였다. 여성들이 생각했던 교육의 내용이란 어떤 것이었는지, 그들이 교육을 통해 얻고자 한 것은 무엇이었는지 내방가사 텍스트를 통해 주로 살폈다. 내방가사에 나타난 근대전환기 여성들의 교육에 대한 담론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글 배우기의 강조와 자기표현의 욕구, 시대변화에 따른 여성교육의 역할 모색, 그리고 학교교육과 이에 대한 구여성의 정체성 확립에 대한 것이다. 여성들은 교육이 자신들에게 어떤 의미이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내방가사를 통해 말하고 있으며,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인하거나 재구성하고 있었다. 대체로 내방가사 향유자들은 근대전환기 새롭게 대두되고 있었던 여성교육의 시대적 요청에 공감하고 있었고, 교육을 통해 자신들의 새로운 위상과 정체성을 확보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 비록 그들이 글 배우기나 익히기의 수준, 전통적인 유교이념에 입각한 여덕(女德) 수행에 더욱 비중을 두고 있었다 하더라도, 내방가사 향유를 통해 교육이라는 주제에 대해 스스로를 되돌아보고 자신들의 정체성을 재구성하는 기회를 가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discourse and meaning of women’s education in Naebanggasa(Korean traditional poetry by women)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Naebanggasa is a prominent genre since it reveals the changing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women’s education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This period in Naebanggasa reflects the struggle to promote women’s education and public understanding of the issue. One of the features of this generational shift is the inclusion of women’s opinions. Regarding ideas on the education of women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Naebanggasa emphasized literacy to satisfy the demand for self-expression, the role of women’s education as the result of a generational shif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the traditional woman with regard to schooling. Through Naebanggasa, women expressed what education means to them and the role they can play. This not only reaffirmed their identity, but also reconstructed it. Those who enjoyed Naebanggasa also realized the need to promote women’s education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Through education, it appears that women were achieving a new status and establishing their identities. Despite an emphasis on skills such as reading and writing, as well as the practice of female virtue as prescribed in Confucian ideology, women were provided the opportunity to reconstruct their own identity in the changing times through the discourse on education.

목차

1. 머리말
2. 글 배우기의 강조와 자기표현의 욕구
3. 시대변화에 따른 여성교육의 역할 모색
4. 학교교육과 구여성의 정체성 확인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은숙(Choi, Eunsook). (2022).근대전환기 내방가사에 나타난 여성들의 교육담론과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133-158

MLA

최은숙(Choi, Eunsook). "근대전환기 내방가사에 나타난 여성들의 교육담론과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022): 133-1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